목차
Ⅰ. 서 론
1. 에너지 산업의 현재와 핵융합 에너지
Ⅱ. 본 론
1. 핵융합에너지의 기초원리
1) 핵융합
2) 열핵융합
3) 플라즈마와 토카막장치
Ⅲ. 핵융합에너지의 장ㆍ단점
1. 핵융합에너지의 장점
2. 핵융합에너지의 단점
Ⅳ. 핵융합에너지의 미래전망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19세기 화석연료의 발견은 2차 산업혁명을 필두로 하는 산업의 변화와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하지만 화석연료의 사용은 이산화탄소의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 및 많은 환경파괴를 일으켰다. 환경적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1997년 교토의정서가 채택되었고 많은 나라들이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에 따라 탄소배출권이 거래되고 있기도 하다. 화석연료는 존재가 한정적이므로 고갈 또한 예상되고 있다. 석탄은 100여년, 석유와 천연가스는 50여년 후에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환경문제와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해 인류는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이라는 과제를 갖게 되었다. 현재 전 세계는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고 상용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란 새로운 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동시에 만족하는 에너지로 기존의 화석연료가 아닌 에너지이면서 태양 혹은 지구가 존재하는 한 무한정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이다. 신재생에너지로는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수소에너지, 수력에너지, 핵융합에너지 등이 있다. 여러 종류의 에너지들이 개발되고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기술수준과 가격경쟁력 면에서 화석연료에게 밀려 상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고민과 연구는 대단히 중요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화석연료의 양은 줄어들고 그 가격은 오를 것이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의 상용화가 늦어진다면 세계적으로 에너지가 품귀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재생에너지 중 핵융합에너지는 많은 과학자들이 에너지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는 에너지원이다. 핵융합에너지는 핵분열에너지와 같이 원자력에너지의 한 종류이다. 핵분열 에너지는 상용화 된지 오래되어 우리나라의 경우 1978년부터 고리원전을 시작으로 핵분열발전을 하고 있다. 핵분열 발전은 2016년 현재 우리나라 전력생산의 37.5%를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2024년까지 그 비중은 48.5%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핵분열발전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드러냈다.
참고 자료
원자력상식사전 편찬위원회, 『원자력 상식사전』, 박문각, 2016.
이태규, 『항공우주공학용어사전』, 새녘출판사, 2012.
정운혁ㆍ노태익, 『핵분열과 핵융합 – 기초원리, 원자로 및 핵폭탄』, 동아대학교 출판부, 2010.
헤르만-요제프 바그너, 『에너지 위기,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도서출판 길, 2010.
추석현, 「국내외 핵융합 연구 동향 = The Intern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Trend of the Nuclear Fusion」, 강릉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권혁범, 「한국의 녹색성장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략 : 태양광 발전과 풍력발전 성장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박사학위, 2012.
오계민, 「한국형 핵융합 실증로 필수안전기능 및 안전계통 개념설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장용철, 「신재생에너지 보급요인에 관한 연구 : 태양광과 풍력의 비교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국가핵융합연구소, 「핵융합에너지 정책 백서 : 핵융합, 꿈의 에너지 세상으로 가는 길」, 2012.
국가핵융합연구소, http://www.nfri.re.kr
디지털타임즈, http://www.dt.co.kr
사이언스 동아, http://search.dongascience.com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
통계청, http://www.kostat.go.kr
YTN SCIENCE, http://science.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