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공찬전 [薛公瓚傳] - 조선 최초의 금서, 그 문학적 가치 -
- 최초 등록일
- 2019.07.10
- 최종 저작일
- 2019.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
Ⅱ. <설공찬전> 작품외적 제반 문제
1. 작가 “채수”
2. <설공찬전>의 국문학적 의의
Ⅲ. <설공찬전>에 나타난 인물들의 문학적 의미
1. 설공찬의 누이의 의미
2. 설공찬의 의미
3. 설충수의 의미
4. 설공침의 의미
5. 설워와 윤자신의 의미
Ⅳ. 결론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설공찬전>은 다들 알다시피, (여러 논란이 있지만) 최초의 국문소설로 알려진 <홍길동전>보다 시기상으로 100년이 앞서 국문으로 기록되었다 하여 꾸준히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던 작품이다. 그러나 이것은 국문소설을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로 그 범위를 나누면서 어떤 학자들은 <설공찬전>을 최초의 국문소설로 인정하기도 하는 입장이고 보면 그 국문소설이라는 정의부터 똑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논고는 그러한 일련의 쟁점들을 차치하고 “문학은 문학으로 보아야 한다.”는 기본전제를 두고 다른 주변적 상황을 최대한 배제한 체, text만으로 이를 분석할 것을 목표로 삼고자 한다. 그 이유는 <설공찬전> 국문 본을 발견한 이복규에 의해 그 문학사적 의의라든지는 꽤 정의 내려진 반면에 일차적 자료인 text내의 이야기 줄거리 외에는 그 어떠한 작품내적분석도 해놓지 않은 것에 회의(懷疑)를 품었기 때문이다. 이는 아직 그 결말이 다 드러나지도 않은, (어쩌면 여러 이본 중 하나일 수도 있는) 필사본을 가지고 작품의 내용을 모두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지금까지는 그 원문이 없어 연구하지 못했다는 핑계를 될 수 있을 지라도, 이제는 그나마 발견된 작품을 가지고 그 작품 속 인물들과 사건들을 찬찬히 연구해 볼 수도 있지 않나 하는 생각에서였다.
다만 아직은 깊이 있는 연구가 되지 못하고, 논자의 개인 감상과 분석이 되지 않을까 염려하며 본고를 시작하려 한다.
Ⅱ. <설공찬전> 작품외적 제반(諸般) 문제
물론 논자가 본고에서 가장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Ⅲ장에 나오는 <설공찬전>에 나오는 모든 인물들의 문학적 의미 재고(再考)와 반추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격적 논의에 앞서 본 Ⅱ장에서는 <설공찬전>의 연구사 검토 차원에서, 이때껏 작품외적으로 연구된 쟁점들을 조금씩이나마 언급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참고 자료
이복규, 『설공찬전』, 시인사,
E.M. 포스터, 『小說의 理解』, 문예출판사
정만조, 「채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병헌 『한국고전문학의 교육적 성찰』,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조동일,『한국문학통사 3』, 지식 산업사
최운식, 『(개정판) 한국고소설 연구』, 보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