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예술과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의 활용방안
- 최초 등록일
- 2019.07.09
- 최종 저작일
- 2019.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과 범위
Ⅱ. 본론
1. 국내 창작 공연 예술의 현황
2. 크라우드 펀딩의 이해
3. 공연예술에 도입된 크라우드 펀딩의 성공사례의 시사점
4. 창작뮤지컬의 제작 과정에서 크라우드 펀딩의 효과 및 활성화 방안
Ⅲ. 결론 및 한계점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 연구 배경 및 목적
21C에는 이전 세대의 단순한 데이터 집합체였던 웹1.0에서 벗어나 운영자가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보 수집자의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는 웹2.0가 등장하게 되었다. 웹2.0은 ‘참여’, ‘공유’와 ‘개방’을 키워드로 삼아 위키피디아(Wikipedia), 블로그(Blog) 등 다양한 정보 공유 플랫폼을 생성 했다. 웹2.0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의 활성화는 다양한 사회문화에 영향을 끼치며 이를 활용한 마케팅 또는 시장을 형성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소규모 투자방식인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 탄생했다.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가난한 창작자들은 자신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다양한 사람들에게 선보이고 필요한 자본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미국에서 크라우드 펀딩은 소기업, 게임산업, 예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해왔으며 그 사례가 한국에 소개되며 현재 새로운 ‘후원’및 ‘기부’ 방식으로 주목 받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 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의 뮤지컬 시장은 2001년, 라이선스 작품인 <오페라의 유령>의 흥행을 계기로 산업화 단계에 진입했다. 이후 뮤지컬 시장의 규모가 커지면서 해마다 15% 이상 성장하였고, 2012년 기준 연간 산업규모가 2500억~3000억 원 규모의 큰 시장으로 발돋움하였다.국내 뮤지컬 시장이 성장하는 것과 별개로 아직 창작뮤지컬의 제작은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중, 대극장 창작뮤지컬의 부재가 눈에 띈다. 연간 제작되는 창작뮤지컬 수는 해외 뮤지컬에 비해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정작 돈벌이가 되고 대중이 운집하는 대형 공연장은 해외 뮤지컬들에 점령되었기 때문이다. 선행연구에서 다른 연구자의 논문을 살펴보면 창작뮤지컬 제작의 어려움에 대한 논지를 펼치고 있지만 창작자를 양성하여 작품의 질을 높이자는 해결책만 제시할 뿐 실질적인 제작비에 대한 언급은 미흡했다. 필자는 다른 논문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투자금을 모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참고 자료
김거수 『웹2.0 전후 환경과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관계현상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2
태유진 『한국뮤지컬의 제작 현황과 관객개발에 대한 연구, 국내뮤지컬 시장의 제작환경과 수요자의 행태분석을 중심으로』 2008
김소라, 『한국현대창작뮤지컬의 극본 연구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2011,
김용기, “[김용기 문화칼럼] 뮤지컬판 ‘스크린 쿼터’의 의미란”, 초이스경제, 2013.
원종원, “창작뮤지컬은 ‘빛 좋은 개살구”, 시사저널, 2013
김소라, “그날들 흥행으로 본 창작뮤지컬의 명암”, 서울신문, 2013
유재혁, “한국 공연 프로듀셔 협회 출범 … 24일 창립총회”, 한국경제,2004.5.25
박수호, “크라우드펀딩이 뭐길래 … 새로운 소액투자? 유사수신?”, 매경이코노미, 2013.02.25 3
김거수 『웹2.0 전후 환경과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관계현상 연구』 기초 조형학 연구 201
태유진 『한국뮤지컬의 제작 현황과 관객개발에 대한 연구:국내뮤지컬 시장의 제작환경과 수요자의 행태분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