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간호사정(Assessment)
1. 병동 입원환자 사례관리
A. 일반적 사항(General appearance)
B. 정신과 관련사항
1) 입원당시 증상
2) 현재 질병상태
3) 개인력 (과거력)
4) 가족력
C. 영역별 사정
1) 신체영역
2) 정신건강영역 : Mental Status Examination(정신 상태 사정)
3) 사회적 영역
4) 발달 영역
5) 영적 영역
6) 심리적 영역
7) 현재 치료 상황
D. 가족사정(Family Function Assessment)
E. Diagnoses
F. 간호문제 도출
1) 간호문제 목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B. 정신과 관련사항
1) 입원당시 증상
● 최초 발생 시 주 증상 : “일을 그만두고 집에만 있으면서 숨이 막힌다고 해서 왔어요.” by. 보호자
● 발병 시기 : remote onset 2008.03.01.
recent onset 2018.12.27.
● 입원 동기
-> 상환 depressive d/o imp 하에 본원 입원했던 자로서 퇴원 이후 외래 f/u 하면서 약 꾸준히 복용했음. 환자 경제적으로 부족하진 않으나 보호자들이 만류함에도 돈을 벌어야겠다는 생각과 적적한 마음에 기존에 일했었던 요양보호사 일을 한 달 간 했었다고 함. 한 달 전부터는 다리도 안 좋고 힘에 부쳐서 집에서 쉬고 있으며 이후부터 혼자 지내면서 외로움을 느끼며 혼자 살아가기 두려워하고 막막해 했다함. 이후부터 눕거나 가만히 앉아 있으면 숨이 차고 일어나서 움직이면 호전되는 증상 있었고, 점차 증상 악화되어 10일 전부터는 숨이 차서 족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불안해졌고, 이와 함께 tremor, chilling, dizziness, nausea 등의 panic like sx. 발생하였다고 하며, 이에 자다가 죽지 않을까하는 불안한 마음에 가족들에게 수차례 연락하기도 하였음. 위와 같은 증상 지속되어서 심장, 호흡기 관련 검사를 했으나 문제없었다고 함. 위와 같은 증상 지속되어 스스로 입원한 자임.
2) 현재 질병상태
● 사정일의 주 증상 및 문제 : 진전, 오한, 어지럼증, 오심
● 발병일로부터 사정 일까지의 병동생활 (치료에 협조적인지, 대인관계, 활동양상, 수면, 영양, 개인위생 등)
-> 본원 입원 시 치료진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치료에 매우 협조적임. 같은 병실에 있는 다른 환자들이나 병동 내에 있는 다른 환자들과는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지는 않았음. 식사 후에 소화가 안 되어서 병동 복도나 활동실을 자주 걸어 다니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옥외 정원 개방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항상 다른 환자들보다 더 오래 머무는 모습을 보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