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정지하는 것으로, 그 결과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함
-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가 심하게 손상되며, 5분 이상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 사망 에 이름
⇒ 신속한 응급처치를 통해 심장의 펌프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체외 심장마사지로 혈류 순환을 유지
<중 략>
- 심장성 심정지의 발생과정
① 전구증상: 흉통, 심계항진, 호흡곤란, 전신 솨약감 등과 같이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 발생하여 임상증상으로 발현되는 과정(심정지 발생 수일 내지 수개월 전부터 발생)
② 유발증상: 신체기능의 급격한 변화를 유발하는 임상증상으로서 부정맥, 저혈압 또는 쇼 크, 호흡곤란 또는 흉통의 악화와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유발증상이 발생한 후에는 언제든지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음
③ 심정지: 주로 유발증상에 의하여 발생한 심실세동, 무수축 등의 부정맥에 의하여 유발되 지만, 부정맥이 발생하지 않고 전기-기계 해리에 의하여 발생하기도 함
<중 략>
3) 증상
- 갑작스런 의식상실과 함께 호흡이 중단되고 맥박이 소실되며 동공은 심정지후 45초가 지 나면 산대되기 시작하여 2분후면 교정
- 반응이 소실되며 무호흡, 혈압을 잴 수 없으며 사지의 경련과 피부나 안색이 회색으로 변함
- 심정지의 특징적인 징후: 경동맥의 맥박소실
- 경동맥이나 대퇴동맥, 요골동맥의 맥박이 아주 약하게 나타남⇒ 낮은 심박출량으로 인하 여 뇌나 신장, 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CPR을 시작
참고자료
· 김금순 외 (2015),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805~812
· 박은영 외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