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정신 전문 간호사가 되려면
3-1) 정신 전문 간호사 표준 교육과정
3-2) 정신 전문 간호사 자격시험 응시자격
3-3) 정신 전문 간호사 직무 기술서
4) 앞으로의 전망
본문내용
2000년부터 시행된 전문 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증하는 전문 간호사 자격과 해당 분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갖고 의료기관이나 지역사회 내에서 간호대상자에게 상급수준의 전문가적 간호를 자율적으로 제공하는 자를 의미한다. 이들은 환자, 가족, 일반 간호사, 간호학생, 타 보건의료 인력 등을 교육하고 실무교육프로그램 개발이나 보수교육에도 참여한다. 현재 의료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전문 간호사 분야는 가정, 감염관리, 노인, 마취, 보건, 산업, 아동, 응급, 임상, 정신, 중환자, 종양, 호스피스로 총 13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나는 그 중 정신 전문 간호사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1) 정신 전문 간호사란
정신 전문 간호사란 여러 가지 기법을 이용하여 정신 간호 대상자의 스트레스를 완화, 관리하고 약물 및 심리치료법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간호사이다. 이들은 특수한 지식과 기술을 전문 간호 분야의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한 후 법적으로 인정을 받고 상급실무를 수행한다.
정신 전문 간호사가 이용하는 여러 가지 기법에는 자조그룹지도를 포함한 정신심리극, 인지행동치료, 인간관계훈련, 인간잠재력 개발훈련, 직업재활, 현실, 놀이, 미술, 독서, 무용, 음악요법 등 정신간호에 필요한 치료적 활동과 정신 장애자의 증상 및 약물관리, 생활훈련, 작업훈련 및 개인, 가족, 집단치료 등이 있다.
2) 정신 전문 간호사의 주요 역할
전문 간호사는 임상 간호술은 물론, 전문 간호 분야의 관련지식이 뛰어난 실무자로 간호대상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질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한 전문 간호사의 구체적 역할은 대표적으로 6가지가 있다.
ㄱ.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자
자신의 전문분야에서 간호와 간호 관련 학문의 폭넓은 지식과 기술을 기초로 대상자에게 상급 간호 실무를 제공한다.
ㄴ. 교육자
환자, 가족, 일반간호사, 간호학생, 타 보건의료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보수교육 또는 실무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한다.
참고자료
· 대한 간호 협회. “전문 간호사”,
· http://www.koreanurse.or.kr/resources/be_specialist.php (2017.05.13)
· 정신 간호 사회. “정신 간호사”, http://kpmhna.or.kr/sub2/2_1.php (2017.05.13)
· 한국 직업 사전. “정신 전문 간호사”,
· http://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Dic/jobDicDtlInfo.do?pageType=jobDicSrchByKeyWord&jobCode=2430&jobSeq=15 (2017.05.13)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전문 간호사의 주요 역할”,
· http://kabone.or.kr/kabon04/index03.php (2017.05.13)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정신 전문 간호사 표준 교육과정”,
· http://www.kabone.or.kr/kabon03/index03_02.php (2017.05.13)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전문 간호사 자격시험 응시자격”
· http://kabone.or.kr/kabon04/index05.php (2017.05.14)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정신 전문 간호사 직무 기술서”,
· http://kabone.or.kr/kabon04/index39.php (2017.05.1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