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실습(보건소) 갔다와서 작성한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보건소에 각 사업 중 금연클리닉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되어있습니다.
방문간호를 한 후 대상자에 대한 건강사정, 간호진단 및 과정이 들어있습니다.
지역사회 간호진단내용을 기준으로 작성했고 가계도 및 우울척도 등 객관적인 사정도구를 사용해서 대상자 문제를 파악했습니다.
지역사회간호학 실습(보건소) 갔다와서 작성한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보건소에 각 사업 중 금연클리닉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되어있습니다.
방문간호를 한 후 대상자에 대한 건강사정, 간호진단 및 과정이 들어있습니다.
지역사회 간호진단내용을 기준으로 작성했고 가계도 및 우울척도 등 객관적인 사정도구를 사용해서 대상자 문제를 파악했습니다.
목차
1. 금연 전화서비스
2. 금연 보조제 지급
3. 이동 금연클리닉 사업
4. 학교 금연교육 프로그램
5. 1:1 맞춤식 금연상담
본문내용
1. 금연 전화서비스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이면서 보건소에 내소하지 않는 주에 속한 대상자 혹은 금연을 시작한 지 6개월, 12개월 이상 된 대상자에게 금연유지 및 흡연욕구 조절이 잘 되고 있는지 상담하고 대상자를 격려하기 위함
→ 지속적인 금연의지 강화 및 흡연욕구 조절, 금단증상을 극복하도록 도와주어 대상자를 지지하고 격려한다.
2. 금연 보조제 지급
현재 흡연자 , 최초 등록시 하루에 10개비 이상 흡연한 대상자 또는 니코틴 의존도가 높아 금연이 어려운 대상자에게 보조제를 제공하여 금연 성공률 증가시키기 위함
→ 종류는 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니코틴 사탕, 아로마 금연파이프, 은단, 금연 한방침이 있고, 1인당 연간 6주분 이내 처방을 원칙으로 한다.
3. 이동 금연클리닉 사업
금연 클리닉을 접해보지 못했거나 금연의지가 있으나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홍보하고 금연에 동참하기를 격려하기 위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