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new trade theory
- 최초 등록일
- 2019.06.25
- 최종 저작일
- 2019.06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목차
1. 국제무역이론
2. ‘New New Trade Theory’의 주요내용
3. 이론에 대한 평가 및 개선방안 제시
i. 의미
ii. 한계1: 세계 모든 나라에 적용 불가
iii. 한계2: 대기업 독점 문제 발생
iv. 한계3: 생산성에 치우친 논리 전개
본문내용
1. 국제무역이론
현재까지의 국제무역이론은 크게 총 3세대로 분류할 수 있다. 1세대 국제무역이론으로는 데이비드 리카르도의 비교우위론과 헥셔-오린의 보유자원에 따른 무역이론이 있다. 이러한 배경속에서 2세대 무역이론인 신무역이론이 등장하였다. 신무역이론의 주된 내용으로는 독점적 경쟁시장 규모의 경제가 있다. 신무역이론에서는 기업들이 차별화된 상품을 생산함으로써 산업내무역이 발생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업들은 상품의 차별화뿐 만 아니라 각기 다른 ‘생산성’의 차이로도 구분된다. 하버드대학교 교수인 Marc Melitz는 이러한 견해를 바탕으로 3세대 국제무역이론인 ‘New New Trade Theory’를 주장하였다.
2. ‘New New Trade Theory’의 주요내용
이 이론에 따르면 ‘생산성’을 기준으로 각각의 기업들은 판매량, 수입, 이윤, 수출시장 진출 등이 서로 다르다. 먼저 무역개방 이전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생산성이 높은 기업들은 수출시장에 진출하여......<중 략>
참고 자료
[국제무역이론 ⑥] 3세대 국제무역이론 - '생산성 향상'을 이끌어내는 국제무역, https://joohyeon.com/221 [on the other hand]
팜티탄, 2013, 『아시아시장 진출 한국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Hyun Bae Chun, Hee Cho Jang, Jung Hur, 2013, 『한국의 수출과 FDI는 보완적인가?』, 「한국국제경제학회」
기업은행-기보, 해외진출 중소기업 금융지원나선다, 홍윤, 2018.12.27, http://leaders.asi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289
인양수, 2005, 『韓國 中小 製造企業의 海外 子會社 經營成果에 관한 硏究』국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의 조건, https://karlcsy.blog.me/110092625749, 2010.8.24
양경희, 2007,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성공과 실패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Harald Oberhofer, Michael Pfaffermayr(2011), “FDI versus Exports: Multiple Host Countries and Empirical Evidence”, Volume 35, Issue 3
이상광, 2018,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기업 경영진의 문화지능 및 경영 현지화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