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죽음 이해와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로 보는 죽음과 삶을 통한 죽음에 대한 두려움 극복과 자기 찾기 PPT
(PPT 애니메이션 효과 많음)
목차
1. 앨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죽음의 5단계
1) 부정
2) 분노
3) 타협
4) 우울
5) 수용
2.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와 네 가지 실존적 관심구조
1) 실존주의 심리치료란 무엇인가
2) 인간이 직면하는 실존적 갈등
3) 죽음
4) 자유 / 책임감
5) 소외 (고립)
6) 무의미
3. 죽음 극복 가능성과 자기 찾기 (FUFF)
1) 죽음 직면 Face death
2) 죽음 불안 이해 Understanding of death anxiety
3) 실존적 자유의 이해 understanding of existential Freedom
4) 자기 찾기 Finding of self
4. 정리
본문내용
서론
인간은 살아가면서 많은 욕망을 가지고 있으며 또 그것을 채우면 또 다른 욕망이 생겨나기 때문에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든 평생 동안 욕망을 채우며 살아가게 됩니다. 그러나 죽음은 절대로 충족시킬 수 없는 욕망입니다. 누구나 죽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지요. 죽음이란 절대로 피해갈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죽음 앞에서는 진실해져야 합니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생의 수레바퀴라는 책에서 “죽음이란 삶의 가장 중요한 순간이며 죽음은 삶의 총체”라는 말을 하였습니다. 따라서 죽음의 문제는 삶의 문제이고, 어떻게 죽느냐는 삶을 의미 있게 완성하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는 것입니다.
참고자료
·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죽음과 죽어감>, 청미, 2018.01.29
·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상실 수업>, 이레, 2007.04.04
· 이세형. (2003). [죽음이해]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죽음이해. 세계의신학, (61), 156-190.
· 노성숙. (2016). 삶을 사랑하고 죽음을 준비하는 심리치료소설과 인문상담의 새 지평. 인간연구, (31), 145-155.
· 노성숙 (2011). 죽음에 직면하는 실존적 심리치료. 인간연구, (20), 231238.
· 안남희.(2017).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의 죽음과 죽음 극복 가능성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대한문학치료연구, 7(1): 27-49
· 강용수(kang Yong soo).(2015). 실존주의 철학과 철학상담. 철학연구, 135(): 1-30
· 김정현 ( Jyung Hyun Kim ). (2012). 얄롬의 실존적 심리치료와 니체사상. 니체연구, 22(0), 129-15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