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환경호르몬이란 무엇인가
2.1 호르몬이란?
2.2 환경호르몬의 용어
2.3 환경호르몬의 특징
2.4 환경호르몬의 정체
3. 환경호르몬이 몸에 미치는 영향
3.1 불임
3.2 면역력
3.3 어린이의 뇌
4. 환경호르몬 피해를 방지 방안
5. 요약정리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머리말
생태계와 환경수업의 과제 주제를 환경호르몬으로 정하였다. 환경호르몬에 대해 자세히 모르고 있었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에 대해 더 알고 싶기도 하였고 요즘 환경호르몬이 많이 논란이 되고 있기 때문에 궁금증이 생겨 환경호르몬을 주제로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였다.
2. 환경호르몬이란 무엇인가
2.1 호르몬이란?
생명체는 모두 신호를 보내고 받아야만 살아갈 수 있다. 자극에 대해서 반응 하지 않으면 큰일을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호르몬을 알기 위해서는 인류와 동물의 내분비에서 분비하는 신호 전달 물질인 호르몬을 알아야한다. 신체가 활용하는 신호 전달 반응 과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면역계와 신경계 그리고 내분비계는 세포 간 신호 방식을 가지고 있다. 호르몬을 신호 전달 물질로 활용하는 내분비계는 아주 효과적인 신호 전달 방식을 가지고 있는데 각각의 내분비선은 중요한 신호를 전달할 한 종류의 호르몬을 소량만 방출한다. 내분비선에서 분비된 호르몬은 가장 정확하게 목표지점까지 데려다줄 혈액 속에 들어간다. 호르몬의 목표지점은 호르몬의 신호를 받을 조직 혹은 기관의 목표지점을 말한다. 목표지점에 도달한 호르몬은 자신이 전달한 신호를 받을 부분을 찾는다. 세포표면이나 내부에 있는 이 부분을 수용체 라고 한다. 세포 한 개가 받은 신호는 또 다른 세포로 계속해서 퍼져 나간다. 세포 속에 들어 있는 핵으로 신호를 받으면 핵은 신속하게 활동을 한다. 핵은 신호를 복사하고 그 명령을 여러 곳으로 다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내분비선인 뇌하수체에서 난소로 신호를 보내면 난소는 그 신호를 다시 자궁으로 전달하고 그 신호를 받은 자궁은 자궁 내벽을 허물어트린다. 이러한 식으로 내분비계를 통해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 하는 것이 호르몬이다.
2.2 환경호르몬의 용어
환경호르몬이란 신체 외부에서 들어와 인간이나 동물, 그 중에서도 특히 태아의 신체 기관의 기능이나 생장을 방해하여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이나 화학물질혼합물을 말한다.
참고자료
· 테오 콜본, 『도둑맞은 미래』, 사이언스북스, 1997
· 도변웅이, 『환경호르몬 방어를 위한 처방전』, 전남대학교출판부, 2002
· D. 린드세이 벅슨, 『 환경호르몬의 반격 (환경호르몬으로부터 내 아이와 가족을 보호하는 방법)』, 아롬미디어, 201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