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가 공동체주의 측면에서 현대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A+++)
- 최초 등록일
- 2019.06.15
- 최종 저작일
- 2018.05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목차
1. 들어가며: 유교의 한국 전래와 공동체주의 차원에서의 긍정적 기여 가능성
2. 본문
2.1. 개인주의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유교의 역할
2.2. 사이버 예절을 위한 유교의 역할
2.3. 가족 해체를 막기위한 유교의 역할
2.4. 사회적 안전 장치로서 유교의 역할
3. 결론
본문내용
유교는 한반도에 이미 삼국 시대 때부터 유입된 우리 역사와 땔래야 땔 수 없는 철학이자, 학문이자, 종교이다. 이후 조선은 건국과 동시에 숭유억불 정책을 시행하며 유교는 국가의 지배 이념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조선은 이러한 유교의 전국적인 보급을 위해 향교를 부, 목, 군, 현마다 설치했다. 물론 실제로는 불교를 완전히 배척하지는 않았으며 융통성 있게 받아들이는 부분 또한 있었다. 일례로 세종대왕도 불교 신자였고 불교 서적을 편찬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접어들면서 유교의 성리학은 생활 깊숙이 침투하여, 조선은 유교가 만들어진 국가인 중국보다 더 유교적으로 교조화 되었다. 서원과 향촌 사회 자치규약인 향약은 백성들의 생활을 유교적으로 통제하였고 이러한 조선 후기의 모습은 대한제국, 일제강점기를 거쳐 대한민국이 건국된 이후 7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우리의 삶 곳곳에 녹아 들어 있다. 유교는 도덕적으로 많은 강점을 지니고 있지만 흔히 사람들은 유교의 긍정적 측면보다는 유교로 인해 만들어 진,......<중 략>
참고 자료
최영갑,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역할” 유교사상연구 제24집, 2005.12 561-566p
김문석, “고독지수 78점 외로운 한국사회…개인주의가 고독감 상승 원인” 스포츠경향 2018.04.04
김혜민, “잇따르는 잔혹 범죄 ‘극도의 개인주의’ 때문…치유 방법은?” TV조선 2016.01.21
황경식, “사이버 공간, 자아 정체성과 익명성”『철학사상』 제16권 2003.6 697-713p
김우진, “인성교육의 조건과 시민교육” 『문화와융합』 제37권 제1호 2015.06 289-316p
임헌규, “유교의 인간이상과 보편적 가족주의” 『동양고전연구』 제45집 2011.12 337-361p
김덕균, “유교적 가족주의, 해체인가 복원인가” 『유교사상연구』 제23집 2005.8 p. 124, p. 125
이영경, “한국의 자살문제와 유교 사상” 『한국민족문화』 제52호 2014.8 p. 168, p. 169
김보경, “유교 사상으로 본 한국인의 자살과 중독” 『동양사회사상』 제25집 2012.5 p. 171, p. 175
정태연, “공동체의식의 함양에서 본 한국 학교교육의 문제점”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4권 제1s호, 2008.02 p.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