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 평가의 방법인 상대평가제도 한계점과 개선방안 : 현 평가제도의 이점과 과오에 대해서
- 최초 등록일
- 2019.06.06
- 최종 저작일
- 2017.12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평가의 의미
1. 상대평가의 의미
2. 절대평가의 의미
Ⅲ. 본 론
1. 상대평가의 장, 단점
2. 절대평가의 장, 단점
3. 상대평가의 한계점
4. 절대평가의 필요성
4.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비교
Ⅳ. 결론 및 개선방안
본문내용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왔다. 평상시엔 정말 친한 친구라고 하더라도 시험기간만 되면 서로에게 냉정해지고 치졸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20년을 넘게 대한민국에서 살아왔다. 또한, 경쟁을 통한 개개인의 발전을 위해서 상대평가를 활용 했다. 그러나 이는 이제 잘못된 평가제도이다. 예를 들어, 마라톤선수의 사례를 얘기하자면 상대평가를 통해 국내 1위에게 포상을 하는 것과 절대평가를 통해 2시간 10분 이내에 들어온다면 포상을 하겠다. 라고 평가했을 시에 상대평가는 단기적으로는 순위가 좋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기록에는 큰 발전이 없을 것이다. 이에 반해 절대평가를 통해 포상을 했을 시에는 2시간 10분이라는 기록을 뛰어넘기 위해 단기적, 장기적으로 열심히 노력하여 개개인의 기록에 발전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현 평가제도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정말로 절대평가가 아닌 상대평가로 개개인을 평가함으로 더욱 제대로 된 평가가 가능하고 발전이 가능한가?
2018년 대학 수능 능력 시험에서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절대평가가 도입 되었다. 이는 많은 논란과 찬반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런 문제가 발생한 이유는 무엇일까, 논문을 작성하기 전부터 고민했던 부분이다. 그리고 떠올렸다. 이는 학생들을 평가하는 지표가 되는 것은 고작 성적이기 때문이다. 다른 선진국은 어렸을 때부터 각자의 적성에 맞는 교육을 실시한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여전히 획일화 된 교육을 바탕으로 등수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등급 또한 부여하고 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공부에 흥미가 없어도 내가 관심 있는 분야가 아니어도 옆에 있는 친구보다 잘 해야 한다. 그래야만 내가 인정받을 수 있다. 왜 굳이 내가 인정받으려면 친구를 이겨야만 가능한 것일까? 친구와 다 같이 잘 될 수도 있지 않은가? 이것이 바로 대한민국의 평가제도 현 상황이다.
참고 자료
김봉준, 「인사평가에서 상대평가로 인한 오류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인사조직 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008.2, p.30
교육학개론 - 박준영 저(경성대학교 출판부)
교사를 위한 교육학 -김진한 저(학지사)
교육학개론 - 김준권, 손충기 공저(동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