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원인, 사례 및 대책 분석
*동*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원인과 사례를 살펴보고,우리나라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점에 대한 정책사례를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젠트리피케이션이란?2.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원인
1) 인구생태학적 요인
2) 사회문화적 요인
3) 정치경제적 요인
4) 지역사회 요인
3. 젠트리피케이션의 유형
1) 주택 젠트리피케이션
2)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3)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4. 젠트리피케이션의 영향
5. 젠트리피케이션의 사례
1) 홍대권역의 젠트리피케이션 사례
2) 압구정권역의 젠트리피케이션 사례
6.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점
1) 임대인 측면
2) 부동산 컨설팅업자 측면
3) 권리금 장사(cherry pickers) 문제
4) 대중매체 측면
5) 임차인 측면
7. 국내외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정책사례
1) 해외 정책 사례
2) 국내 정책 사례
본문내용
1. 젠트리피케이션이란?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시 근린 변화의 주요 현상으로, 낙후된 도시 근린이 중산층의 이주와 함께 재활성화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교외화로 인하여 도시 외곽 지역으로 유출되었던 인구와 자본이 다시 도시로 회귀하면서 근린 생활환경이 향상되는 현상이다. 이 과정의 결과로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근린은 지가와 거주민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한다.
이 용어는 영국의 Glass(1964)가 런던의 근린 변화를 설명하면서 ‘노동자 계층이 주거하던 근린이 중산층으로 대체되는 것’이라는 의미로 처음 사용하였다. Glass가 처음으로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후, 북미 및 유럽의 많은 도시에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진행되었다. 도시 내부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심화되면서, 1980년대 서구에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후 젠트리피케이션이 다양한 형태를 띠며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확장되고, 2000년대 이후 많은 도시에 대한 젠트리피케이션 연구가 진행되었다. 젠트리피케이션 형태의 차이는 도시의 발달 정도, 물리적·사회적 구조 차이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발현된다(신정엽·김감영, 2014).
최근에는 신규 개발 젠트리피케이션과 재개발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여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신규 개발은 나지(裸地)나 오픈 스페이스에 새로운 주거 단지 등이 조성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재개발은 낙후된 주거 지역이 철거 등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주거 지역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정의의 모호성 때문에 신규 개발이나 재개발과 같은 근린의 변화를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 논란이 있지만, 아시아 도시의 젠트리피케이션 논의는 대규모의 신축 고급 주택 단지 건설이 일정 부분을 차지한다(신현준·김지윤, 2015). 신규개발 및 재개발로 인한 근린의 변화 역시 젠트리피케이션의 일반적 진행 과정과 일치하므로, 이러한 근린 변화 현상을 모두 젠트리피케이션으로 간주한다.
참고 자료
김희진, 문화지역의 상업화 과정과 정소성 인식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남기범, 국내 젠트리피케이션 논의의 쟁점과 현안진단, 부동산포커스, 기획특집2, 한국감정원 KAB부동산연구원, 2016.
박재은,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이션 현상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정책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5.
박태원 외, 한국의 젠트리피케이션, 도시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6.
박수빈․남진,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 방지를 위한 지역 공동체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서울 연구원, 2016.
신정엽․김감영, 도시 공간 구조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의 비판적 재고찰과 향후 연구 방향 모색, 한국지리학회지, 2014.
신현준․김지윤,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 재생 혹은 개발주의 이후 도시 공간의 모순과 경합 사이, 2015.
안치영,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완화를 위한 국내외 도입정책 시사점 연구,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논문, 2017.
이선영, 재개발, 이주, 젠트리피케이션 반대 운동,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2014.
이선영, 젠트리피케이션의 유행을 다시 생각하다, 월간 환경과 조경, 전49권 2호, 제335호, 2016.
이양희, 신사동 ‘가로수길’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9.
정원오,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논문, 2017.
조명래, 젠트리피케이션의 이해, 월간 문화사회, 2013.
최병현, 서울시 도심부 재개발 공동주택의 젠트리피케이션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허자연 외,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사업자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015.
허자연, 상가 권리금의 리스크 요인과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 완화를 위한 정책과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황준기,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의한 장소성 변화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