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담 스미스 소개 (생애)
2. <국부론>의 시대적 배경
3. <국부론>의 사상적 배경
4. 공정한 관찰자’(impartial spectator)와 ‘자기사랑’(self love)
5. <국부론>에 대하여
본문내용
아담 스미스 소개 (생애)
1723년 영국 스코틀랜드의 항구도시 커콜디에서 태어남
ㅇ 아버지는 세관원으로 스미스가 태어나기 전에 돌아가셨지만,
생활은 어렵지 않았음.
ㅇ 1737년(14세)에 당시 명문대학인 글래스고 대학교에 진학,
ㅇ 스코틀랜드 계몽주의를 이끈 허치슨 교수에게 도덕철학을 배움
ㅇ 스코틀랜드 계몽주의란 인간의 이성에 기초해 세계를 파악하고,
자연법에 근거하여 개인의 자유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상
ㅇ 1740년(17세) 글래스고 대학을 졸업한 후 옥스퍼드 대학에 진학
ㅇ 1746년(23세) 고향으로 돌아옴.
ㅇ 1751년(28세) 모교 글래스고 대학의 논리학 교수가 됨
ㅇ 1759년(36세) <도덕감정론>을 출간
ㅇ 1764년(41세) 버클로 공작의 가정교사가 되어 프랑스와 스위스를 여행.
ㅇ 1776년(53세) <국부론>을 출간.
ㅇ 평생 독신으로 살다 1790년(63)세에 세상을 떠남.
국부론의 시대적 배경
<국부론>의 시대적 배경이자 사상적 배경이 된 자연철학은 아이작 뉴턴(1642~1727)이 1687년 <프린키피아>를 발표하며 중세 우주관의 종말을 선언하며 시작되었다.
ㅇ 아이작 뉴턴은 3가지 운동법칙으로 지구와 달 사이 그리고 태양과 목성 사이에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인력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ㅇ 그리고 태양의 중력으로 지구와 다른 행성들이 타원을 그리며 태양 주위를 회전한다는 사실을 밝혀내면서 지상의 법칙이 천상에서도 적용됨을 증명한 것이었다.
ㅇ 기독교의 논리대로라면 신이 모든 것을 창조하고 운행해야 하지만, 자연철학에 따르면 신이 모든 것을 다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신은 세상의 법칙을 만들었을 뿐이고 인간과 세상 만물은 그 규칙에 따라 움직이게 되었다는 사상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국부론의 사상적 배경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을 이해하려면 먼저 <국부론>의 사상적 배경이 된 <도덕감정론>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ㅇ 신이 세상의 모든 것을 만들고 관장한다는 ‘유신론’(theism, 有神論)에서 벗어나는 것이 계몽주의 철학의 가장 큰 출발점이었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