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Introduction
<실험 목표>
이 실험을 통하여 NaOH용액을 표준화하고 HCl용액과 탄산염(Na2CO3)과 탄산수소염(NaHCO3)의 혼합물을 분석하는 과정인 직접적정법과 역적정법을 이용해 정량 분석하여, 미지시료 혼합물의 알칼리도와 탄산염과 탄산수소염 각각의 농도를 구하여 직접적정법과 역적정법의 과정에 대해 이해하며 원리에 대해 이해한다.
<실험 이론>
알칼리도(Alkalinity) - 알칼리도는 수소이온을 중화하기 위해 반응할 수 있는 물속의
이온과 양으로 정의되며,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알칼리(CO₃²-, HCO₃-, OH-, H₂BO₃3
HPO₄²-, H₂PO₄-, HS-)를 탄산칼슘(CaCO3)으로 환산하여 mg/L으로 표시한 값이다.
알칼리 화합물은 토양 및 대기 중의 물질들이 용해되어 생긴다. 알칼리도의 가장 보편적인 구성 성분으로서는 탄산수소이온(HCO3-), 탄산이온(CO32-)과 수산화물(OH-)을 둘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대기성분인 이산화탄소로부터 생길 수도 있고 유기물의 미생물 분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총 알칼리도(total alkalinity) - 총 알칼리도는 수중의 알칼리 성분을 중화를 위해 소비된 산의 양을 구하고, 필요한 산 성분을 탄산칼슘(CaCO3)으로 환산하여 ppm으로 표시한 값이다. 탄산염과 탄산수수염의 혼합용액을 HCl용액으로 적정하는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HCO3- + H+ → H2CO3
CO32- + 2H+ → H2CO3
위 반응식에서 탄산수소이온은 HCl과 1:1로 반응하고, 탄산이온은 HCl과 1:2로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총 알칼리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총 알칼리도 = [HCO3-] + 2[CO32-]
역적정법(Back tiration) - 화학분석 정량법의 하나로써, 분석 대상 미지시료에 과량의 표준용액 A를 가하여 충분히 반응시켜 적정반응을 완결시키고, 반응 후 남은 표준용액A의 양을 다른 표준용액 B로 적정하여 미지시료와 반응한 표준용액 A의 양을 구하는 방법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