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사 개념
희랍어 합성어
Eu(well) + thanatos(dath) = “아름답고 좋은 죽음”
안락사란?
죽음에 임박해 극심한 신체적 고통에 시달리는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죽음 앞당기는 인위적 조치
안락사 분류
< 환자 의사 반영 >
자발적 안락사 (Voluntary Euthanasia)
비자발적 안락사(Nonvoluntary Euthanasia)
반자발적 안락사(Involuntary Euthanasia)
< 행위자의 행위여부 >
소극적 안락사
치료를 중단하거나 보류함으로서 죽음을 초래 Ex. DNR
적극적 안락사
약물주입 등 적극적인 행위를 통한 안락사
안락사가 문제시 되는 이유
신체적 이익 VS 생명적 이익
< 찬성 >
-삶의 질 중요 시
- 환자 자신뿐 아니라
가족.의료진.병원.사회에도 부담을 주는 일임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다.
Ex. 호스피스 간호
< 반대 >
-절대적 존엄성을 지닌 인간으로 어떠한 치료 중지도 정당화 될 수 없음
-살인 금지의 원칙에 위배됨
-생명 경시 풍조 초래
-안락사가 허용되었을 경우 오용이나 남용 등 범죄가 등장할 것임
참고자료
· http://www.kormedi.com/care/accident/accident_04_08.aspx Kormedi
· http://study.zum.com/book/11692 ZUM 학습백과
· www.agendanet.co.kr 아젠다넷
· http://press.uos.ac.kr/news/articleView.html?idxno=3156 서울시립대 신문
· 우재명.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의 윤리1). 서강대학교
· [흔들리는 생명] 4. 안락사 허용 –찬성. 중앙일보. 2002-02-23
·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51609
· [뉴스쇼 판] 죽음 적극적으로 맞이할 권리 있나?…'안락사' 기준 시급.TV 조선. 2014-03-04
·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3/04/2014030490367.html#non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