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포괄적 노인 사정 도구
1) 건강력
2) 신체검진
3) 기능 사정 (일상생활활동, 영양, 변비, 욕창, 낙상, 인지기능)
4) 약물
5) v/s
6) 기타 치료
3. 간호과정
1) 간호 문제
2) 간호 과정
(1) 억제대 적용 및 실금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2) 질병으로 인한 활동량 저하와 관련된 변비
(3) 치매로 인한 정신상태 약화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본문내용
Ⅰ. 문헌 고찰
- 최근 65세 이상 한국 노인인구 중 치매환자 수가 2016년 68만명을 넘어섰고 2020년에는 84만명으로 2050년에는 270만명을 넘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흔히 노인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인지기능 저하는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로 인한 진행적 병적 인지기능장애로 나눌 수 있다. 잘 알고 있던 사람의 이름을 간혹 잊거나, 둔 물건의 장소를 잘 못 찾는 등의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내용은 잊지 않고 잘 기억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 정상적인 노화라 할 수 있다. 반면 치매는 뇌의 기질성 병변에 근거한 인지기능의 저하가 있으며 최소한 불가역성, 돌이킬 수 없는 상태이다,
1) 치매의 원인
- 치매의 원인 질환으로는 80-90가지가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3대 원인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그리고 ‘루이체 치매’이다.
알츠하이머병은 가장 흔히 발생되는 치매의 원인으로, 전체 원인의 약 50%를 차지한다. 뇌졸중 후에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는 약 10-15%,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약 15%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 략>
간호진단: 억제대 적용 및 실금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이거 풀어주라”
요양보호사님 “계속 손을 입에 가져 가서 묶어놨어.”
간호사님 “이렇게 꽉 안묶어두면 우리 어머님들이 똑똑하셔서 어떻게든 풀게 되어있어”
요양보호사님 “ 얼마 안 쌌으니까 활동 갔다 와서 기저귀 갈아입혀야 겠다.”
객관적 자료: ·허리, 팔목에 억제대 사용 (허리-2015, 팔목-2017)
휠체어에서 벨트억제대 사용
억제대 적용 부위 (오른쪽 팔목)에 약간 붉게 쓸린 자국
검지손가락 한마디 정도 한 2cm 정도 (+) 드레싱(-)
·변실금, 요실금 (+, +)
· 하루 보통 기저귀 보통 6회 교환.
· 대변이 찔끔 나올 때 즉시 교환하지 않고 기저귀에 묻는 양이 요양보호사 판단 하에 어느 정도 양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교환함.
· 주로 침대에서 생활.
·욕창 위험도 사정 Braden Scale
16점 (욕창 약간 위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