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보건발달사
- 최초 등록일
- 2019.04.10
- 최종 저작일
- 2018.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지역사회간호/보건발달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공중보건
2) 지역사회보건
2. 본론
1) 외국의 공중보건과 지역사회간호의 역사적 변천
2) 우리나라의 공중보건과 지역사회간호의 역사적 변천
3. 결론 및 느낀점
4. 출처
본문내용
1. 공중보건
공중보건에 대해 Dr. C.E.A. Winslow(1920)는 “조직된 지역사회의 노력으로 환경위생관리, 전염병관리,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질병의 조기발견과 예방적 치료를 할 수 있는 의료 및 간호사업의 체계화, 그리고 모든 사람이 자기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적합한 생활수준을 보장하도록 사회적 제도를 발전시킴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건강을 우지 및 증진시키는 과학이요, 기술이다”라고 정의를 내렸다. 또한 미국 IOM(1988)은 공중보건을 “모든 사람이 건강할 수 있는 조건을 보장하려는 사회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두 정의 모두 지역주민의 건강문제를 각각의 개인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상호 관련성을 갖고 각자의 건강문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건강문제는 생활환경, 사회적 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2. 지역사회보건
공중보건사업은 감염병 시대에서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바뀌어 가는 시대적 흐름과 함께 사업활동과 내용의 명맥을 유지하면서 지역사회보건사업으로 그 명칭을 변경되었다. 이렇듯 공중보건에서 비롯된 지역사회보건은 “주어진 시·공간에서 이용 가능한 지식과 자원으로 높은 수준의 신체적·정신적·연적 안녕상태에 이르는 것(Hanlon&Pickett, 1984)” 혹은 “인간이 생물학적·정신적·연대적인 잠재성을 실현하고 비교적 질병에서 벗어나 편안히 살도록 허용된 환경에 잘 적응하는 것(Banta, 1979)”라고 정의되었다. 즉 ‘생존’의 의미보다는 ‘삶의 질’이라는 관점에서 건강을 생각하였고 지역사회에 살고 있는 개개인의 주민과 하나의 실제로서의 지역사회가 최적의 생물학적·정신적·사회적·영적 안녕상태로 이끄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지역사회보건의 핵심에는 ‘일차보건의료’가 있다.
참고 자료
고정은 외, 『지역사회간호학Ⅰ』, 현문사(2018)
김화중 외, 『지역사회간호학』, 수문사(2013)
맹광호(1999), 한국의 공중보건 1세기, 醫史學(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Vol.8 N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