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H뇌내출혈 CASE_성인간호학실습A+과제
- 최초 등록일
- 2019.04.09
- 최종 저작일
- 2017.06
- 3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목차
1. 서론(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ICH(Intracerebral hemorrhage)
2) 정의
3) 증상
4) 원인
5) 진단검사
6) 합병증
7) 치료
8) 간호
2. 본론(자료수집 및 간호과정)
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자료수집
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간호평가
본문내용
◆ 정의
뇌내출혈(ICH)은 혈관이 갑자기 뇌조직 안으로 파열되어 뇌를 손상시키고 뇌졸중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때 발생한다. 뇌엽성 뇌출혈은 기저핵 외부의 뇌엽에서 발생한다. 기저핵은 대뇌(뇌에서 가장 큰 부분)에 위치한 구조물로 운동 제어, 절차 학습, 눈 움직임, 그리고 인지 기능을 지원한다.
뇌내출혈 중에 뇌졸중 유사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서 두통, 쇠약, 혼동 및 마비와 같은 증상을 특히 몸의 한쪽 측면에 일으킨다. 혈액 축적으로 뇌에 압박을 가하고 산소 공급을 방해한다. 이는 뇌와 신경을 빠르게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즉시 치료가 필요한 응급 상황이며 뇌내출혈은 허혈성 뇌졸중(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히게 되는 것)처럼 흔하지 않지만, 더 심각하다.
◆ 증상
• 얼굴, 팔 또는 다리의 갑작스러운 쇠약, 저림 또는 마비, 특히 몸의 한쪽 측면에서만 발생함
•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
• 삼킴 곤란
• 한쪽 눈이나 양쪽 눈의 시력 문제
• 균형 및 협동의 상실, 어지럼
• 언어 기능의 문제 (읽기, 쓰기, 말하기, 이해력)
• 구역/구토
• 무감각, 졸음, 기면, 의식 상실
• 혼동, 섬망
◆ 원인
고혈압은 뇌내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젊은 사람들에서의 또 하나의 흔한 원인은 비정상적인 뇌혈관이다. 기타 원인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머리 부상 또는 외상
• 뇌 내의 동맥을 막는 혈전
• 파열성 대뇌동맥류 (혈관의 약한 부분의 파열)
• 동정맥기형 (정상적인 혈류를 방해하는 뇌내의 기형 혈관)
• 혈액희석제 사용
• 출혈 종양
• 중증 고혈압과 출혈을 일으킬 수 있는 코카인 사용
• 혈우병과 겸상적혈구빈혈 같은 출혈 장애
누구든지 뇌내출혈을 겪을 수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위험이 증가한다. Mayfield Clinic(메이필드 클리닉)에 따르면. 남성은 여성보다 위험이 더 높고, 중년 일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도 위험이 더 높다.
참고 자료
조경숙 외(2016)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원종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양선희 외(2014) 기본간호학2 현문사
양선희 외(2016) 핵심기본간호수기. 현문사
박은영 외 공저(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