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1930년대 소설 천변풍경을 행복에 관하여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1930년대 시대 배경
2. 행복의 추구
2-1. 물질적 욕구를 통한 행복의 추구
2-2. 정과 사랑의 연대를 통한 행복의 추구
3. 필자의 생각
4. 문학사적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1930년대 시대 배경
한국 사회에서 도시가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1930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일제가 대공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만주사변(1931년), 중일전쟁(1937년), 태평양전쟁(1941년) 등 식민지 확장의 침략전을 일으켰다. 또한, 한국의 사회적 기반을 무력화시켜 그들의 침략에 용이한 형태로 재편성했다. 식민지 정책 강화로 서울의 도시 계획, 일제의 토지조사사업 등이 착수되기 시작했고, 이에 따른 파급효과로 농촌의 붕괴현상이 일어나 다수의 농민이 농촌을 등지고 떠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러한 대다수의 유이민 중 일부는 서울로 유입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당시 서울은 식민지 사회의 모순을 첨예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서울은 외형적으로 근대 도시의 모습을 갖추었지만, 그 이면은 그렇지 못했다.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진행이 아니라 식민지 정책에 의한 타의에 의한 변화였고, 그로 인해 의식의 혼란은 물론 사회·계층적으로 심한 불균형이 존재했다. 때문에 1930년대 도시화 소설에서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가난, 범죄, 쾌락, 매춘, 인간관계의 상실 등을 주로 다루었던 거라고 생각한다.
2. 행복의 추구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복해지기를 원하고 그러기 위해 노력한다. 혼란스럽고 급작스럽게 현대 대도시로의 변화를 겪어야 했던 당대 사람들도 그러했을 것이다. 박태원은 모두가 행복과 쾌락을 찾아 떠돌던 시기에 ‘행복’이란 화두로 독자와 대화를 시도한다. 「천변풍경」에서 ‘천변’에 사는 사람들의 일상을 제재로 도시 소시민의 행복 찾기를 주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행복의 추구는 인물에 따라 제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박태원은 그중에서도 기미꼬라는 인물의 행복 추구를 긍정적으로 표현했다.
2-1 물질적 욕구를 통한 행복의 추구
워낙 궁핍하고 가난한 상황이었던 만큼 많은 이들이 당장 먹을 것이나 입을 것조차 제대로 갖고 있지 않았다. 그래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극복 수단으로 떠오른 것이 ‘돈’이었다.
참고 자료
박태원, 『천변풍경』, 타임비. 2012.
박태원, 김종회 엮음, 『천변풍경/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백성경, 「박태원 소설 연구-『천변풍경』에 나타난 ‘행복’의 의미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09.
석영명, 「박태원의 「천변풍경」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1995.
김동진, 「박태원의 「천변풍경」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2001.
장수정, 「『천변풍경』의 근대성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200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