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미만성 축삭 손상(diffuse axonal injury)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적 검사
4. 예후
5. 치료 및 중재
6. 합병증
7. 참고문헌
Ⅱ. 기뇌증(pneumocephalus)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적 검사
4. 치료
5. 중재
6. 합병증
7. 참고문헌
Ⅲ. 반측성 안면경련증 (Hemifacial spasm)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적 검사
4. 치료
5. 수술 전후 관리
6. 중재
7. 합병증
8. 참고문헌
Ⅳ. 뇌하수체 선종(pituitary adenoma)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적 검사
5. 치료(수술, 약물치료)
6. 합병증
7. 참고문헌
Ⅴ. Brain abscess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적 검사
4. 치료
5. 중재
6. 합병증
7. 참고문헌
Ⅵ. Meningitis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
4. 치료
5. 중재
6. 합병증
7. 참고문헌
Ⅶ. AVM & Embolization(뇌동정맥기형)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
4. 치료
5. 중재
6. 합병증
Ⅷ. Seizure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
4. 치료
5. 중재
6. 병실 이실 후
7. 참고문헌
Ⅸ. EDH (Extradural or epidural hematoma, 경막상 혈종)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
4. 치료
5. 중재
6. 합병증
7. 참고문헌
X.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뇌내 혈종)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
4. 치료
5. 중재
6. 합병증
7. 참고문헌
XⅠ. SDH(경막하 출혈, subdural hemorrhage)
1. 원인
2. 빈도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7. 예후
8. 참고문헌
XⅡ. Cervical spine injury
1. 임상적 분류
2. 진단
3. 치료
4. 치료의 원칙
5. 척수손상의 치료
XⅢ. 경추 추간판 탈출증(C-HNP)
(1) 종류
(2) 증상
(3) 진단
(4) 치료
XⅣ. 개방성 분쇄 함몰 두개골절
1. 두개결손 ( Skull defect )
XⅤ. Hydrocephalus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적 검사
4. 치료
5. 참고문헌
XⅥ. Barbiturate Coma Therapy
(1) 적응증
(2) 원리
(3) 효과
(4) 방법
(5) 합병증
(6) 간호시 주의사항
XⅦ. 뇌종양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검사
4. 치료방법
5. 간호중재
6. 합병증
XⅧ.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AH
1. 정의
2. 병태생리
3. 진단적 검사
4. 치료
5. 중재
6. 합병증
7. 참고문헌
XⅨ. 뇌경색
1. 정의
2. 병태생리
3. 뇌경색의 발생 기전에 따른 분류
4. 부위에 따른 뇌경색의 증상
5. 진단적 검사
6. 치료
7. 간호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종괴 병소나 허혈성 병변이 없고 CT상 혼수의 원인이 될만한 병소가 없음에도 수상직후부터 장기간 혼수상태에 있는 경우 임상적으로는 의식소실이 거의 없는 경한 두부외상에도 발견되며 임상범위가 양성의 뇌진탕에서 혼수까지 다양하다.
2. 병태생리
중증의 두부외상 환자에서 드물지 않게 볼 수 있으며 장기간의 의식소실을 보이나 두개강내 종괴의 소견은 없는 경우에 대한설명으로 대뇌백질의 전반적인 퇴행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는 심한 가속 및 감속손상에 의해 초래되며 국소성 손상과는 달리 대부분 의식 명료기간이나 두 개강내압 상승은 없다. 조직학적으로 축삭내의 일련의 손상과정을 보이며, 관성충격은 반구에서 뚜렷이 나타나고, 강한 충격일수록 심부에도 전달되어 뇌간이나 뇌량에서 손상을 볼 수 있다. 혼수의 기간이 6시간이상 지속된 경우로 임상적으로는 CT상 혼수의 원인이 될 만한 병소가 없음에도 수상직후부터 장기간 혼수상태에 있는 경우를 말한다. 미만성 축삭 손상은 조직병리학적 용어로서, 특징적인 CT소견으로는 뇌량, 대뇌기저핵, 뇌실주위 및 상소 뇌각등에 작은 출혈이 보이나 이러한 소견이 모든 미만성 축삭손상에서 다 관찰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소견이 없다고 해서 미만성축삭 손상이 아니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3. 진단적 검사
-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뇌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SPECT(single-photon enission computed tomography)
4. 예후
손상정도에 따라 다르며 사망률은 경도가 15%, 중증도 24%, 중증 57% 호흡기를 비롯한 전신성 합병증과 두개내압 상승에 따른 이차적 손상이 중요한 사망원인이 된다. 중증의 미만성 축삭 손상은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식물인간으로 남는 경우도 흔하다.
5. 치료 및 중재
미만성 축삭손상 자체를 치료하는 방법은 아직 없다. 대부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정상인과 비슷한 환경을 제공하여 회복을 기다리는 방법이다.
참고 자료
이대희, 임상 신경학(2003), 고려대학교출판부Chikaryuki Ochiai & Suga Sakamoto (2008). 뇌신경계 간호. 의학서원 174-177p
http://facialspasm.samsunghospital.com/
간호네비, 뇌신경계 간호 -의학서원, 신경외과학 - 대한신경외과학회
김금순외(2007), 신경계 중환자간호/ 군자
김선애외(2003), 임상간호의 핵심/ 한우리
정용구외(2006), 신경외과학/ 대한신경외과학회
신경계 중환자 간호(군자출판사)
성인간호학(현문사)
대한 뇌혈관 외과학회 - http://www.kcvs.org/sitelinks/sitelinks.html
중환자전문간호교육규과정협의회, 신경계 중환자 간호, 군자출판사, 2007
이향련 외 7명,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7
신경외과학 / 대한신경외과학회
성인간호학(하) III / 수문사
대한신경외과학회 2005 2.15 개정판 중앙문화사
뇌신경계 간호 정문주. 이상형
신경계 중환자 간호 신경외과학 성인간호학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신경외과 사용약물 22페이지
- 신경외과 중환자실 간호사로 일하면서 아이패드에 손으로 정리한 찐 요약집 15페이지
- 신경외과 문헌고찰 및 관련 질병 병태생리, 간호 31페이지
- [신경외과] 신경외과의 여러가지 질병, 수술 70페이지
- 신경계 외과적 수술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