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조현병 CASE]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schizophrenia, 정신간호학실습,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5개, 이론적 근거
- 최초 등록일
- 2019.03.26
- 최종 저작일
- 2018.10
- 3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간호과정적용
Ⅲ. 결론
1)총 평가
2)실습소감 및 느낀점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당한 고통을 준다. 또한, 인지영역에 갖가지 문제를 나타낼 뿐 아니라 일상생활과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조현병 환자들 가운데 다수는 고립된 생활과 실업, 무주택 등의 문제점들을 안은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조현병은 현재 정신과 병동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고, 나의 실습지인 국립부곡병원의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조현병을 앓고 있다. 나는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조현병 환자에 대하여 이론적인 근거에 입각한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간호진단을 내림으로써 조현병 환자를 이해하고자 하며, 대상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이 연구를 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1) 정의
조현병(정신분열증)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당한 고통을 주지만, 최근 약물 요법을 포함한 치료적 접근에 뚜렷한 진보가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에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질환이다.
2) 원인
(1) 생물학적 원인
1. 유전적 원인
단일유전자가 아닌 다유전자 요인에 의한 유전성을 주장하고 있으며 쌍둥이 연구에서 일란성 쌍둥이가 조현병일 때 다른 한쪽도 조현병이 발병할 일치율이(약 40~60%) 이란성 쌍둥이(약 10~15%)의 경우보다 약 4배 정도 높다. 또한 조현병이 있는 친부모에게서 태어난 자녀가 조현병이 없는 양부모에게 자란 경우, 조현병이 없는 친부모에게서 태어난 자녀가 조현병이 있는 양부모에게서 자란 경우보다 조현병 환자 발생률이 더 높게 나타난다.
2. 신경생화학적 원인
신경전달물질은 두뇌 속의 세포들이 서로 소통하고 연결되도록 하는 물질로, 조현병에서는 도파민, 세로토닌, 글루타메이트, GABA, 노어에피네프린 등 여러 신경전달물질이 불균형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 자료
이경희 외(2017). 조현병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장애와 간호. 정신건강간호학, JMK, 395-417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