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정신에 의해서 부적응적인 행동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깨닫게 만들어준 것은 프로이트라는 학자다. 이후 인간에게 어떤 정신적인 문제가 생기면 어떤 부적응적인 행동문제가 생기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한 학문이 따로 생기게 되었고 이상행동에 대해서 다루는 학문인 이상심리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런 정신적 문제가 생기는 것은 인간마다 트리거, 즉 방아쇠가 다른데 이 방아쇠가 되는 경험 역시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이상행동이 나타나는 것도 사람마다 다르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상행동에도 유형과 패턴이 있다. 이런 패턴과 유형으로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를 진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인데 따라서 어떤 사람이든 정신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부적응적인 행동을 기준으로 어떤 문제가 나타나는지 판단하고 진단할 수 있다. 그렇다면 영화나 드라마, 소설과 같은 매체에서 그 매체의 주인공이 가지고 있는 부적응적인 행동의 패턴에 대해서 분석하고 어떤 정신장애를 가지고 있는지 진단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드라마 속 주인공 부적응행동패턴
부적응행동 패턴을 가지고 있는 드라마 속 주인공을 설정하자면 먼저 ‘괜찮아 사랑이야’라는 드라마의 주인공인 ‘장재열’을 골랐다. ‘괜찮아 사랑이야’라는 드라마는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이 서로 함께 생활하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그린 드라마인데 누구라도 정신장애를 쉽게 가지게 될 수 있고 그런 사람들이라고 하더라도 특정한 부적응행동 패턴만 아니라면 얼마든지 정신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드라마다.
그렇다면 장재열이라는 캐릭터가 어떤 부적응행동패턴을 보여주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어떤 정신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지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1) 자신의 오피스텔과 똑같은 공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생활이 불가능함
장재열이라는 캐릭터는 드라마 속에서 자신이 평소 살던 오피스텔에서 벗어나 다른 하숙집에 묵게 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