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계획과 자본조달] 단기재무계획과 자본조달, 장기재무계획의 의의와 형태, 장기자본조달
- 최초 등록일
- 2019.03.09
- 최종 저작일
- 2019.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I. 단기재무계획과 자본조달
II. 장기재무계획과 자본조달
1. 장기재무계획의 의의
2. 장기재무계획의 형태
3. 장기자본조달
1) 주식에 의한 자본조달(자기자본조달)
2) 사채에 의한 자본조달
(1) 사채의 의의
(2) 사채와 주식
3) 장기차입금에 의한 자본조달
III. 자기금융
본문내용
I. 단기재무계획과 자본조달
기업이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운전자금이라고 한다. 이 운전자금도 고정적으로 필요한 부분은 장기자금으로 조달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장기자금을 운전자금으로 이용한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며, 오히려 단기부채로 고정자산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단기자본조달에는 일반적으로
1/ 금융기관 같은 데서 조달하는 단기차입금
2/ 신용에 의 한 금융
3/ 미지급금 처리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엄밀히 말하면 자본조달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도 있으나 실제로 중요한 것이다.
1/ 거래처의 이용 : 매입처에서 외상이나 어음으로 매입하여 자금을 절약하는 방법과 판매처에서 선수금을 받는 방법이 있다.
2/ 금융기관 기타의 이용 : 금융기관은 어음할인, 어음대부, 증서대부, 당좌대월 등의 방법으로 단기자금을 기업에게 제공한다.
3/ 신용에 의한 방법 : 상거래 상 상대방의 신용을 이용하는 것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이 외상매입금이다.
4/ 미지급금․ 미지급비용․ 선수금․ 선수수익 등에 의한 방법 : 기업이 행하는 이러한 제 방법 등의 조작에 의한 금융도 일시적이기는 하지만 중요한 자금조달의 방법이다.
여기서 미지급금은 영업 외의 채무지급의 연기이고, 미지급비용은 손익계산상의 비용으로 산입되면서 미지급된 것이며, 선수금은 청부공사나 수탁품 등에 대한 선수대금을 말한다.
II. 장기재무계획과 자본조달
1. 장기재무계획의 의의
장기재무계획이란 일반적으로 사업연도를 초과한 기간에 걸친 재무계획을 말한다. 따라서 보통 1년을 초과하는 재무계획이 이에 해당된다 하겠으나, 3년에서 5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이 기간이 1년 또는 6개월로 세분되어 계획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6개월 이상에 걸친 기간의 재무계획이 이에 속한다고 하겠으며, 대체로 1년을 초과한 기간의 재무계획은 장기재무계획이라 볼 수 있다. 장기재무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업의 전체적인 장기사업계획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