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사각지대 취약계층을 위한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체계와 실천영역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제출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9.03.07
- 최종 저작일
- 2019.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목 : 지역사회복지론, 10포인트 3장
주제 : 복지사각지대 취약계층을 위한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체계와 실천영역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제출하시오. 내용 :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추진배경 및 현황,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주요내용 및 사례관리자의 역할,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강점 및 장애요인 등
-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으로 구성하세요.
- 서론 :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추진배경 및 현황을 설명합니다.
- 본론 :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핵심사업인 맞춤형복지서비스의 주요사업내용을 찾아 정리하여 설명하고, 맞춤형 복지전담팀에서 사례관리자가 담당하는 역할을 교재(7주차) 내용을 반영하여 설명합니다.
- 결론 : 서론 및 본론을 통해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강점 및 장애요인 등에 대해 스스로의 생각을 정리하여 기술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각지대 발굴
2. 방문 상담
3. 통합 사례관리와 사례관리자의 역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기존의 읍면동 주민 센터는 복지서비스를 단순히 신청하고 접수하는 기관에 머물던 바, 복지중심 기관으로 개편함으로써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복지에 대한 국민의 체감도를 높이고자 읍면동 복지허브화가 추진되었다. 각 읍면동에 맞춤형 복지 전담팀을 새로 설치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여 직접 찾아가 상담을 진행하고 사례 관리와 맞춤형 통합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민관 협력 활성화 시범 사업 등의 전력이 있는 33개 선도 지역을 설정하여 성공 모델을 육성할 수 있도록 먼저 시행, 점차 확대하게 되었다.
2016년 933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설치된 읍면동 복지 허브화는 2017년 2100개 읍면동으로 확대, 2018년에는 3502개에 이를 예정이며 보건복지부에서 국비 예산으로 맞춤형 복지 차량을 지원, 2016년 말을 기준으로 방문 상담 56만 건, 기초 생활보호 5만 1000건과 긴급 지원 1만 3천 건, 차상위 계층 등 6만 8천 건을 비롯해 41만 건을 발굴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읍면동 복지 허브화와 맞춤형 복지 서비스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추진체계나 실천 영역에 대하여 고찰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읍면동 복지 허브화에서 지칭하는 ‘허브’란 중심지를 가리키며, 지역 단위 복지 사업 수행에 있어 읍면동을 중심지로 하겠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따라서 읍면동은 복지 사업을 통제하고, 업무 추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결국 일반 행정 위주가 아닌 복지 기능 위주로의 개편과 지역 공공 전달 체계의 변화를 필요로 하게 된다.
맞춤형복지서비스의 주요사업내용과 맞춤형 복지전담팀에서 사례관리자가 담당하는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사각지대 발굴
읍면동 맞춤형 복지팀은 읍면동 소재 공공·민간 기관과 협력하여 복지 사각지대의 대상자를 방문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지원 관리 체계를 수립한다.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적 인적..
<중 략>
참고 자료
오민수 외. 2016년 경기도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사항 모니터링. GGWF REPORT. 2016.
보건복지부. 2016년 읍면동 복지허브화 운영 우수사례집. 정책브리핑. 2017.
장천식. 현대 사회복지행정론. 퍼시픽 북스. 2016.
보건복지부. 읍면동 맞춤형 복지팀 매뉴얼.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