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와 가족중심간호(신생아와 가족의 건강증진, 신생아의 건강문제)
- 최초 등록일
- 2019.02.27
- 최종 저작일
- 2018.11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신생아와 가족중심간호(신생아와 가족의 건강증진, 신생아의 건강문제)
요약 정리
목차
제7장 신생아와 가족의 건강증진
1) 자궁외 생활에 대한 적응
2) 신생아와 가족간호
제8장 신생아의 건강문제
1) 출생시 손상
2) 신생아의 일반적인 문제
3)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관리
4) 성숙이상과 관련된 고위험
5) 생리적 요인과 관련된 고위험
본문내용
제7장 신생아와 가족의 건강증진
자궁외 생활에 대한 적응
1. 출생 직후 적응
1) 호흡 기계
-신생아에게 필요한 가장 중요하고 즉각적인 생리적 변화는 호흡의 시작이다. 첫 호흡을 시작하도록 도와주는 자극은 일차적으로 화학적, 온도적 요인이 있다. (화학적 요인 : 낮은 산소, 높은 이산화탄소, 낮은 pH)은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를 자극한다. 일차적 온도 자극은 따뜻한 환경에 있다가 차가운 공기에 노출된 영아의 갑작스러운 오한이다.
촉각적 자극은 호흡의 시작을 도우면서 신생아의 등이나 몸통, 사지를 부드럽게 문지르거나 발을 가볍게 튕기거나 두드리는 것으로 가능하다. 엉덩이나 등을 때리는 행위는 안된다.
폐포의 표면장력은 표면활성제(=계면 활성제)에 의해 감소되는데, 표면활성제는 폐포의 표면을 덮고 있는 폐포 상피세포에서 생산된다.
2) 순환 기계
-혈액을 폐로 흐르게 하는 순환계의 변화는 중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점진적으로 일어나며, 폐, 심장, 주요 혈관의 압력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 태아 순환에서 출생 후 순환으로의 전환은 결국 태아 단락 [난원공, 동맥관, 정맥관]의 기능적 폐쇄를 수반한다.
신생아의 일반적인 문제
1. 신생아 중독성 홍반
-신생아 중독성 홍반은 보통 생후 2일 이내에 나타나 저절로 낫는 경미한 증상이다. 크기의 단단하고, 홍반성 발질 위에 옅은 노란색이나 하얀색 구진 또는 농포가 생기는, 마치 벼룩이 문 것처럼 보인다. 발진은 얼굴에 가장 많고, 사지의 근위부, 몸통, 엉덩이에도 난다. 손바닥, 발바닥을 제외하고 어느 부위에도 생길수 있다.
2. 칸디다증
-칸디다증은 신생아에서 흔하다. 분만 동안 모체의 질, 오염된 손 접촉, 젖병, 젖꼭지, 기타 오염된 기구를 통해 전염된다. 흔히 구강과 기저귀부위에 국한 되기도 한다. 칸디다에 의한 기저귀 피부염이 있다.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