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상하이의 역사와 문화
- 최초 등록일
- 2019.02.24
- 최종 저작일
- 2018.06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목차
1. 상하이의 탄생 (상하이 역사)
2. 서구적 도시의 발달; 처음부터 서구화된 도시
3. 빈부격차, 민족차별
4. 상하이 도시문화의 소멸
5. 홍콩에서의 상하이 향수(노스탤지어)
6. 중국 대륙의 상하이 이미지
7. 90년대말 이후 중국대륙의 상하이 노스탤지어
8. 근대 상하이 이미지의 재현
본문내용
1. 상하이의 탄생 (상하이 역사)
① 1840~1842년 영국과의 아편전쟁 패배
② 난징조약(영-중 조약): 홍콩 할양, 5개 항구 개항 및 조계 설치→ 그 중 하나가 상하이
③ 프랑스, 미국, 일본 등 진출: 조계 규모 팽창 → Old city보다 조계지역이 더 넓음.
④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조 멸망 → 상하이: 일시적인 무정부상태, 서구 열강세력에 더욱 종속, 기존 중국의 종속에서 벗어남, 더 빠르게 성장, 서양국가들 마음 놓고 교역
⑤ 특수지역으로서 급속한 경제 성장, 20세기 초기 상하이의 번영기를 가져오는 동력
2. 서구적 도시의 발달; 처음부터 서구화된 도시
서구적 생활방식 정착, 중국내 이질적 공간 ↔ 베이징: 전형적인 중국, 서구화 속도 느림
치외법권: 외국자본의 투자와 확장
경제적 번영, 동아시아 국제도시로서의 면모
다국적 문화: 이민자들의 도시(유입인구: 주로 젊은 남성), 상하이 외부지역 사람들로 구성 → 상하이 일자리: 서구적인 무역상들, 간단한 영어, 서구식 매너 필요 → 서구적, 도시적 문화 형성
➜ 1) 영국 조계: 상하이 와이탄
2) 황포”공원”
기존의 원림(개인정원)에서 공공정원의 개념 도입. 조계의 외국인과 중국인 간의 위계질서 확립. “중국인과 개는 출입금지”. 공공시설에 진입권 박탈.
3) 상하이 난징루: 전차, 전선이 있었음(근대화, 서구화 됨): 조계의 중심도로, 상업지구
4) 공공조계: 영국경찰들이 치안담당(그 경찰들은 주로 영국의 식민지 중 하나였던 인도에서 인력으로 옴)
➜ 프랑스조계: 성당(선교사 활동 활발, 성당, 병원, 학교(mission school) 많이 있었음), 서구 기독교 대학
➜ 오락산업의 발전
오락산업을 위해선 설비나 장비, 기술이 필요하다. 즉, 자본과 결합된 형태인데 이것이 가능했던 도시가 상하이였음. 그래서 댄스홀, 영화관 등이 성장 함->대중문화 산업의 성장,
➜ 소비산업 발전: 백화점(물건 파는곳+문화공간=근대여성들의 오락거리)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