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럽이 바라보는 중국
2. 서구인들이 중국에 대한 정보를 얻는 통로
3. 아편전쟁(1840-1842)
4. 정복과 전쟁의 대상; 황화 정서(yellow peril) 확산
5. 중국인들의 강한 반외세 감정
6. 근대문물과 중국
본문내용
환상 풍문 상상이 주류
17~18세기: 시누아즈리(Chinoiserie)
유럽 귀족들의 중국 스타일 애호 열풍. 대항해 시대 이국에 대한 호기심. 중국 도자기의 유럽 전래. 중국이라는 낯선 땅에 대한 호기심, 신비로움 등의 감정이 반영된 사조. 시누아즈리는 유럽 로코코 화풍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치며 자연스럽게 서구 문화에 녹아들게 된다.
Francois Boucher(1703-1770): 18세기 프랑스의 대표적인 시누아즈리 화가.
프랑스 로코코 화풍의 대표 작가이기도 함. ‘중국의 황제’를 그린 이 그림에서 서구인들이 막연하게 상상하는 중국의 이미지가 드러난다. 화풍과 구도는 전형적인 서구의 그림인데, 매우 서구적인 외모를 한 동양인들이 그려진 것을 볼 수 있다. 당시 중국에 대한 이미지는 상당 부분이 관념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중국의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그려내는 것보다 화가의 머리 속에서 상상된 중국의 이미지였음을 알 수 있다.
2. 서구인들이 중국에 대한 정보를 얻는 통로
① 선교사, 상인, 여행가의 중국 경험기
특히 선교사들이 오랫동안 현지에 머물면서 남긴 견문록, 보고서 등에서 상세하게 중국의 문물과 풍습에 대해 묘사하였고, 이는 지금도 근대 중국을 연구할 때 매우 중요한 기록으로 남아있다.
② 2)광저우: 1759년부터 유럽과의 교역지(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통상지역) 의 수출용유화
당시 광저우를 드나드는 외국인들의 기념품 수요에 맞춘 그림. 중국화가가 서구식으로 중국의 풍경과 인물을 그린 그림; 중국식과 서구식 미술기법의 혼용, 서구인의 취향에 맞춘 자기재현
3. 아편전쟁(1840-1842)
서구 열강의 침략 가속화
#영국: 은이 갖고 싶었음, 그런데 중국의 화폐는 은. 그래서 아편을 팔아 은을 많이 가짐→무역 불균형 발생.
1차 아편전쟁(영국승리)- 난징조약: 5개 항구 개항, 홍콩 할양 등 서구 열강에 이권 뺏김. → 서구 입장, 중국: 가소로워짐, 전쟁을 하는 대상으로 바뀜.
중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 호기심, 신비 → 계몽, 정복의 대상, 사실적으로 이미지 묘사 변화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