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간척사업
- 최초 등록일
- 2019.02.19
- 최종 저작일
- 2018.10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목적
Ⅱ. 이론적 고찰
1. 간척사업
2. 새만금 지역 개관
3. 새만금 간척사업
Ⅲ. 새만금 간척사업의 양면성
1. 새만금 간척사업의 효과
2. 새만금 간척사업의 문제점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영토의 단위면적 당 해당하는 인구비율이 아주 높은 편이다. 특히, 도시의 경우 좁은 영토의 삼분의 일 가량 정도만이 해당되어 도시에 대한 인구밀집도도 상당히 높다. 따라서 21세기의 급속한 사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토지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공유수면을 매립 혹은 간척하여 사용해야한다. 다시 말해, 간척사업은 산지나 경사가 급한 우리나라 자연환경에서 일정비율의 쌀 자급률 유지 및 통일에 준비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에 따라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범국가적으로 간척사업을 실시하여왔다.
그러나 국가의 경제 전략적인 차원에서 시행해왔던 간척산업이 우리에게 큰 도움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과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인위적 환경변화, 수질악화, 생태계 파괴, 갯벌이 상실 되는 등은 간척사업의 부정적 효과를 단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간척사업, 그 중 새만금 간척사업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하지만, 필자의 능력의 한계로 인해 간척사업의 실질적인 실효성 혹은 문제점을 알아 볼 수는 없지만, 여러 전문가들의 선행연구를 알아보며 이에 대해 종합하고 개인적인 의견을 밝히려 한다.
간척사업이란 연안 간석지를 대상으로 방조제를 건설한 후 해안을 매립하여 육지화 함으로써 농토나 기타 산업 부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말한다. 과거에는 농경지를 얻기 위해 간척사업을 실시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공업 부지나 주택 혹은 공항시설을 위해 간척사업을 주로 실시한다.
대한민국의 간척지 분포도
설명 : 붉은 부분이 구 간척지, 파란 줄무늬가 당시 공사 중인 간척지. 단, 붉은 부분은 간척지외에 자연적인 퇴적 작용으로 형성된 곳도 포함이다.
하지만 간척사업은 최근 들어 큰 비판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간척사업이 생태 환경을 파괴한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새만금간척사업과 지역 사회 변동
새만금 개발지역의 관광산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새만금 간척지 친환경 조성방안
새만금 간척사업의 갈등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네이버 지식백과] 새만금간척사업 [Saemangeum Project, ─干拓事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4323&cid=47334&categoryId=47334
농촌진흥청 식물환경연구소
민관공동조사관 새만금 환경영향 경제성 평가 결과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