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기본간호학 계통별 정리 과제 (비뇨기계, 생식기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신체계통별로 자료정리되어 있습니다. (비뇨기계, 생식기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참고문헌 많습니다.
2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2.18 최종저작일 2017.04
29P 미리보기
기본간호학 계통별 정리 과제 (비뇨기계, 생식기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 미리보기

    소개

    신체계통별로 자료정리되어 있습니다.
    (비뇨기계, 생식기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참고문헌 많습니다.

    목차

    1. 비뇨기계
    1) 배뇨의 정의
    2) 해부
    3) 생리
    4) 기전
    5) 배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생식기계
    1) 정의
    2) 해부
    3) 생리
    4) 기전

    3. 소화기계
    1) 정의
    2) 해부
    3) 생리
    4) 기전

    4. 호흡기계
    1) 정의
    2) 해부
    3) 생리
    4) 기전

    5. 참고자료

    본문내용

    .비뇨기계

    가.배뇨의 정의
    배뇨란 신장에서 생성된 오줌[尿]이 수뇨관을 거쳐 방광에 모여 요도를 통해 배설되는 일을 말한다. 상당량의 오줌이 방광에 괴면 척수의 요 ·천수 내에 있는 배뇨반사중추에 전해지고, 다시 대뇌의 상위 중추에도 전달되므로 어느 정도 배뇨를 조절할 수 있다. 보통 정상 배뇨횟수는 기온, 섭취음료에 따라 다르지만 성인은 10회 이내이며 남자는 1,000∼1,500 ml이고 여자는 800∼1,200 ml이다. 배뇨를 관장하는 비뇨기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된다.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이 요관을 따라 방광에 저장되고 일정한 양의 소변이 방광에 모이면 요도를 통하여 배설된다.

    나. 해부
    비뇨기계를 구성하는 기관에는 신장, 요관, 방광 및 요도가 있다.

    1) 신장
    신장은 필요한 물질은 재흡수하고 불필요한 물질은 걸러내어 소변을 만드는 강낭콩 모양의 기관이다. 신장은 길이 10~14cm, 폭 5~6cm, 두께 2.5~3cm, 무게 약 120~190g의 적갈색 강낭콩 모양의 기관으로 남성의 신장이 여성보다 약간 크다. 신장의 표면은 피막으로 싸여 있고 주위에 지방이 잘 발달되어 있다. 신장은 주위의 지방과 신장의 혈관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나 숨을 들이 쉴 때나 일어날 때면 4~5cm 정도 위치가 내려가기도 한다. 신장은 아래쪽 복막안(복막강)의 오른쪽과 왼쪽에 하나씩 위치한다. 등뼈(흉추) 11번에서 허리뼈(요추) 3번 사이에 위치하는데 오른쪽 신장은 간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왼쪽은 가로막(횡격막) 아래 지라(비장) 근처에 자리한다. 간의 위치 때문에 오른쪽 신장은 왼쪽 신장에 비해 아래쪽에 위치한다.

    참고자료

    · 송경애 외 (2017),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p237-239
    · 이한기 외 (2016), 『생리학』, 수문사, p444-461
    · 두산백과, 「배뇨 [urination, 排尿]」[전자자료],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 1099716&cid=40942&categoryId=32313,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비뇨기관 [urinary system, 泌尿器官]」[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37&mobile&cid=51006&categoryI
    · d=51006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콩팥 [kidney]」[전자자료],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67&mobile&cid=51006&categoryId=51006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요관 [ureter, 尿管]」[전자자료], http://te
    · rms.naver.com/entry.nhn?docId=938666&mobile&cid=51006&categoryId=51006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방광 [urinary bladder, 膀胱]」[전자자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64&mobile&cid=51006&categoryId=51006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요도 [urethra, 尿道]」[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67&mobile&cid=51006&categoryId=51006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차병원 건강칼럼, 「차병원방광 기능 장애」[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
    · docId=2101649&cid=51003&categoryId=51024 (2017년 09월 28일 검색)
    · 도서출판 정담, 「소변의 생성과 배설기능」[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8956&cid=55647&categoryId=55677 (2017년 09월 28일 검색)
    · 간호학대사전, 「생식기계 [reproductive system, 生殖器系, Genital system]」[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93686&cid=50364&categoryId=50364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남성 생식기관 [male reproductive organ, 男性 生殖器官]」[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36&mobile&cid=51006&categoryId=51006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여성 생식기관 [female reproductive system, 女性 生殖器官]」[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38&mobile&cid=51006&categoryId=51006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나팔관 [fallopian tube, 喇叭管]」[전자자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75&mobile&cid=51006&categoryId=51006#TABLE_OF_CONTENT4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질 [vagina, 膣]」[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86&cid=51006&categoryId=51006&mobile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자궁 [uterus, 子宮]」[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83&cid=51006&categoryId=51006&mobile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난소 [ovary, 卵巢]」[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76&cid=51006&categoryId=51006&mobile (2017년 09월 28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관 [digestive system, 消化器官]」[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39&mobile&cid=51006&category
    · Id=51006 (2017년 09월 29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입 [mouth]」[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703&mobile&cid=51006&categoryId=51006#TABLE_OF_CONTENT3 (2017년 09월 29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인두 [pharynx]」[전자자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701&cid=51006&categoryId=51006&mobile (2017년 09월 29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식도 [esophagus, 食道]」[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99&cid=51006&categoryId=51006&mobile (2017년 09월 29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위 [stomach, 胃]」[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04&cid=51006&categoryId=51006&mobile (2017년 09월 29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샘창자 [duodenum]」[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00&cid=51006&categoryId=51006&mobile (2017년 09월 29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작은창자 [small intestine]」[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07&cid=51006&categoryId=51006&mobile (2017년 09월 29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큰창자 [large intestine]」[전자자료], http:// 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11&cid=51006&categoryId=51006&mobile (2017년 09월 29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항문 [anus, 肛門]」[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87&cid=51006&categoryId=51006&mobile (2017년 09월 29일 검색)
    · 두산백과, 「사람의 소화」[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6724&
    · cid=40942&categoryId=32312 (2017년 09월 29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호흡기관 [respiratory system, 呼吸器官]」[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52&mobile&cid=51006&categ
    · oryId=51006 (2017년 09월 30일 검색)
    · 두산백과, 「기도 [air duct, 氣道] 」[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 1070787&cid=40942&categoryId=32311 (2017년 09월 30일 검색)
    · 체육학대사전, 「호흡근 [呼吸筋, respiratory muscle]」[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57569&cid=42876&categoryId=42876 (2017년 09월 30일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가슴우리 [thoracic cage]」[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820&mobile&cid=51006&categoryId=51006 (2017년 09월 30일 검색)
    ·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4 : 호흡기, 「환기 기전, 허파-가슴우리(흉곽)계 기전」[전자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7238&cid=55647&categor
    · yId=55676 (2017년 09월 30일 검색)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