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에 있는 데이터는 2015년, ‘통계청’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로 국민들 중 고혈압 유병률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가장 눈여겨 볼 점은 ‘30세 이상’, 그리고 ‘노년층’의 경우 고혈압 유병률이 각각 ‘32%’, ‘6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참고로 2007년, “우리나라 고혈압 유병률(만 30세 이상, 표준화)은 ‘24.6%’이었던 것”과[(조경숙 외 .(2016).『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시간이 흐를수록 고혈압 대상자들이 많아지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그렇다면 의료의 선진화를 이룩하고 있는 우리 대한민국에서 왜 고혈압 대상자들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어나는 것일까? ‘한국 고혈압 협회’에 따르면 가족력과 같은 유전적 소인도 있지만 급속한 현대 사회의 발달 속에서 현대인들의 바쁘고 각박해진 ‘Life style’(생활 방식)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운동부족, 흡연, 짜게 먹는 것을 즐기거나 알코올 중독, 비만이 증가하게 되면서 고혈압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협회는 그러면서 항고혈압제를 통한 약물요법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대상자의 철저한 ‘자가 건강관리’릍 통한 생활요법의 이행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요즘같이 의학적 정보가 많이 공유된 스마트 사회에서 이러한 원리를 모르는 대상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문제는 무엇일까? 바로 대상자들이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해서 약물요법뿐만 아니라 생활습관의 개선까지도 해야 한다는 점은 알고 있지만 구체적인 '자가 건강관리(Self Care)'에 대한 지식 부족은 여전히 많다는 점이다. 특히 ‘노년층’의 경우, 2/3가 이 점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Aboumatar et al., 2013), 자가 건강관리 능력 부족은 노인에게 더 큰 문제임을 알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배경으로 고혈압 대상자를 위한 ‘보건 교육 및..
<중 략>
· [(조경숙 외 .(2016).『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
· ‘오지혜.(2017). 지역사회 노인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이 고혈압 자가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4(1), 2017.3, 35-45 (11 pages)
· Aboumatar, H. J., Carson, K. A., Beach, M. C., Roter, D. L. & Cooper, L. A. (2013). The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esire for participation in healthcare, medical visit communication, and patient reported outcomes amo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8(11), 1469-76.
· Sørensen, K., Van den Broucke, S., Pelikan, J. M., Fullam, J., Doyle, G., Slonska, Z., et al. (2013). Measuring health literacy in populations: illuminat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European Health Literacy Survey Questionnaire (HLS-EU-Q). BMC Public Health. 13(1). 948.
· Nutbeam, D. (2008). The evolving concept of health literacy. Social Science & Medicine, 67(12), 2072-2078.
· Baker, D. W., Wolf, M. S., Feinglass, J., Thompason, J. A., Gazmarian, J. A., Huang, J. A., et al. (2007). Health literacy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14), 1503-1509.
· Berkman, N. D., Sheridan, S. L., Donahue, K. E., Halpern, D. J., Viera, A., Crotty, K., et al. (2011). Health literacy interventions and outcome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Washington D. C.: AHRQ Publication.
· Jordan, J. E., Buchbinder, R., Briggs, A. M., Elsworth, G, R., Busija, L., Batterham, R., et al. (2013). The Health Literacy Management
· Scale (HeLMS): A measure of an individual’ capacity to seek, understand and use health information within the healthcare setting.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91(2), 228-35.
· 「사단법인 한국 고혈압 관리협회」http://www.khma.or.kr/site/?doc_sub=01_01
·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