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친화도시의 개념과 주요 특성을 서술하였고,
국내외의 여성친화도시 추진사례를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여성친화도시의 개요
2. 여성친화도시사업의 도입 배경
1) 국제적 배경
2) 국내적 배경
3. 여성 친화적 도시 계획의 변화
1) 제 1기 (1880~1950)년대
2) 제 2기 (1960~1970)년대
3) 제 3기 (1980년대~현대)
4. 여성공간이용의 특성
5. 여성친화도시의 비전과 목표
6. 여성친화도시의 추진사례
1) 인천시 부평구의 사례
2) 일본 복지클럽생협의 워커즈 콜렉티브 사례
3) 돌봄연계를 통한 여성친화마을 만들기 ‘ON 브릿지’의 사례
4) 독일의 마더센터(Mother Center) 사례
본문내용
1. 여성친화도시의 개요
오늘날 도시가 끊임없이 성장하면서 가족 및 지역공동체 등의 해체현상 심화, 각종 환경오염 및 외부요인에 의한 범죄 증가 등은 기존 도시 문제를 타계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하였다. 이와 더불어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엄연히 사회·경제적 주체로서 개인의 존엄성이 강조되는 사회분위기 속에 ‘남성-바깥일, 여성-집안일’ 이란 생각이 팽배했던 근대 도시의 전형성은 점차 흐릿해지고 있다.
이는 산업·경제 시장의 수직적 발전만을 논했던 기존의 남성 중심적 발전 포인트에서 사람에 대한 관심 즉, 여러 부류의 요구를 수용한 광역·수평적 발전으로의 변화와 맥락을 같이한다. 특히, 여성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적 만족도 향상에 초점을 두고 많은 지자체에서는 여성친화·양성평등도시 관련 정책을 펴면서 이와 연계된 인프라 구축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여성가족부(2010)는 ‘여성친화도시란 지역정책의 제반(공간적, 물리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안전과 편의, 참여와 성장에 대한 여성과 일상의 요구를 반영하고 그 혜택이 모든 주민에게 고루 돌아가면서 지역공동체의 회복과 삶의 질이 구현되도록 하는 종합적인 지역여성정책의 새로운 모델’이라 정의한다.
홍미희(2012)는 지역에서 실천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미리 정해져 있다기보다 늘 새롭게 해석되고 성찰되어 실천하는 과정에서 여성친화도시가 형성된다고 보았으며, 박태원 외(2013)은 도시정책과 도시계획에서 여성의 참여가 보장되고 남성과 여성의 차이점과 다름을 이해하며 평등이 실현되는 도시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또한 홍미영 외(2009)는 여성친화도시의 물리적 환경기준으로서 여성뿐만 아니라 소외된 계층 모두를 위한 것으로 도시공간을 안전하고 편리한 공간으로 장벽 없는(barrier-free) 사람중심의 도시환경 조성에 있다고 하였다.
참고 자료
박태원 외, 여성친화형 공동주택 계획요소와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3.
송명희, 여성과 공간, 배달말학회 제43호, 2008.
오미란 외, 순천시 여성친화도시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 전남여성플라자, 2017.
윤혜린, 지구화 시대 여성주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9.
이원일․장임숙, 여성친화도시에 대한 인식과 실태조사, 지방정부연구, 제16권 제4호, 2012.
이은숙 외, 서울시 주부의 일상생활 공간의 불평등성, 국토지리학회, 지리학연구, 제37권 3호 2003.
이은아, 젠더와 여성정책, 이재경 외 엮음, 여성학, 미래인, 2007.
인천여성가족재단, 2015년 인천시 여성친화도시 사업 추진체계 연구, 2015.
장미현 외, 건축 및 도시분야 성별영향평가의 현황 및 개선방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권, 10호, 2011.
조성희 외, 아파트단지 거주 맞벌이주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생활특성 및 선호주거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제5호, 2009.
천현숙, 저출산 추세에 대응한 주택 및 도시정책방향연구, 국토연구원, 2012.
최유진 외, 2016년 여성친화도시 조성사례, 여성가족부, 2016.
한경헌 외, 인천광역시 여성친화도시사업 추진체계 연구,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2015.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이 행복한 도시 만들기,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연구보고서, 2008.
홍미영 외, 부산광역시 도시디자인 기본계획 수립사업 성별영향평가,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09.
홍미희, 여성친화도시가 지향하는 핵심가치,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통권372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