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장의 구조와 기능
위장관은 구강에서 항문까지 이르는 연속적인 긴 관이다. 소화과정은 음식물 섭취, 음식물과 찌꺼기의 이동, 점액, 수분, 효소의 분비, 음식의 기계적·화학적 소화, 소화된 음식의 흡수를 포함한다.
2. 신생아의 위장기능의 특성
(1) 소화효소
신생아는 출생 시 소화효소 중 췌장의 아밀라아제(amylase)가 부족해 첫 몇 개월간은 아밀라아제가 부족하여 전분의 소화가 어렵다. 신생아는 췌장의 리파제(lipase)작용이 저조하기 때문에 특히 우유와 같은 고농도의 지방산을 함유한 식품의 소화, 흡수가 효율적이지 않다. 그러나 모유 속의 지방은 리파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우유 속의 지방보다 더 잘 흡수된다.
(2) 위장운동
신생아는 해부학적으로 장의 길이가 신체 크기에 비해 길기 때문에 장의 흡수 면적이 비교적 넓고 분비선도 잘 발달되어 소화, 흡수가 가능하다. 그러나 근육이 약하므로 장이 팽창되기 쉽다. 빠른 연동운동과 비연동 운동이 동시적으로 장 전체를 따라 발생한다. 이러한 파동은 이동성 위장관 복합운동(migrating motor complex: MMC)이라고 하는데, 이 운동에 의하여 음식물이 하부로 밀려 내려간다. 미성숙한 이동성 위장관 복합 운동은 식도 하부괄약근의 부적절한 이완으로 자주 역류를 일으킨다. 음식물은 상부 위장관을 천천히 통과하여 대개 2~4시간이면 완전히 배출된다. 위의 용적은 90ml로 작아서 소량씩 자주 수유해야 한다. 하부 위장관계는 통과 속도가 빠르고 전체 위장관을 통과하는 데에 14~18시간이 소요된다.
(3) 대변
대변 종류/ 양상/ 특징
태변 (meconium)
- 생후 24시간 이내에 배출되는 암녹색의 끈적이는 변
- 주성분은 점액다당류이며, 여기에 탈락세포, 담즙색소, 태아의 솜털, 태지, 장분비액, 양수 등이 섞여있음.
- 생후 24시간 후에도 배출되지 않으면 장폐색을 의심해야 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