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박테리아의 동정(Gram stain) (A+보장, 양질의 다양한 자료, 매 학기마다 예시자료로 쓰여짐)

온도계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9.01.28
최종 저작일
2018.09
2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

Ⅱ.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세균(bacterium)
2. 형태에 따른 균의 분류
3. 그람염색

Ⅲ. 가설 설정(Setting up hypothesis)

Ⅳ. 실험(Experiment)
1. 실험 재료(Materials)
2. 실험 방법(Method)

Ⅴ. 결 과(Result)
1. 박테리아의 관찰(그람염색)

Ⅵ. 고찰(Discussion)
1. 그람염색의 자세한 원리(양성균과 음성균의 어떠한 차이로 탈색되고 안되는지)
2. 실험에 대한 고찰

Ⅶ. 인용문헌(Literature cited)

Ⅷ. 5&6주차 실험 주요어(Key word)
1. 개구리의 외부형태
2. 개구리의 소화기계통
3.개구리의 호흡기계통
4. 개구리의 순환기계통
5. 개구리의 비뇨생식기계통
6. 개구리의 신경계통
7. 개구리의 머리근육
8. 개구리의 몸통근육
9. 개구리의 앞다리근육
10. 개구리의 뒷다리근육

본문내용

Ⅰ.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
미생물을 그람염색하여 염색된 세균의 표본을 관찰한 후 동정된 균의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파악한다.

Ⅱ.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세균(bacterium)
박테리아는 고균, 진핵생물과 더불어 생물의 3영역 중 한 영역을 차지하는 원핵생물의 대표적인 분류군이다. 박테리아는 Monera계(kingdom)에 속하는 생물로서, 생명체들 중에 가장 많이 번성하였다. 흙, 물속과 같이 외부환경에서도 살지만, 동물의 위나 장과 같이 다른 생물의 안에서도 살기도 한다. 대부분의 병원성 균은 박테리아이다. 크기는 0.5μm부터 0.5mm까지 다양하며, 그들은 식물세포나 곰팡이 세포와 마찬가지로 세포벽을 가지고 있으나, 셀룰로오즈(cellulose)가 아닌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이 주 성분인 점이 다르다.
현재까지 13,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매년 600여종의 신종이 새로 보고되어 있어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세균은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든 발견될 만큼 그 분포에 있어서 다른 생물군을 능가하며 대사의 다양성 또한 경이로운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세균은 다양한 병원균과 더불어 산업적으로 중요한 분류군들을 포함하고 있어 일상 생활에서도 인간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 인체 연관 미생물의 집합을 의미하는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는 인체의 건강 및 질병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의 바탕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2. 형태에 따른 균의 분류
세포의 크기는 지름이 작은 것은 0.1㎛, 큰 것은 5㎛이고, 길이가 작은 것은 0.2㎛, 큰 것은 80㎛나 된다. 세포의 모양에는 공모양을 한 구균(球菌), 막대모양을 한 간균(桿菌), 나선모양을 한 나선균(螺旋菌)과 긴 관(管) 또는 도깨비 방망이 모양의 돌출 부속기관을 가지고 있는 균이 있다.

2-1. 구균(coccus)
둥근 모양으로..

<중 략>

참고 자료

동국대학교. 이충호교수 약품 미생물학(2013)
덕성여자대학교. 신혜순교수 약품 미생물학1(2013)
네이버 지식백과. 세균. 출처: 미생물학백과.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5072&cid=61232&categoryId=61232
네이버 지식백과. 세균.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5952&cid=46638&categoryId=46638
네이버 지식백과. 구균. 출처: 물백과사전.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1839&cid=60289&categoryId=60289
네이버 지식백과. 쌍구균. 출처: 두산백과.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0038&cid=40942&categoryId=32333
네이버 지식백과. 포도상구균. 출처: 두산백과.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8251&cid=40942&categoryId=32333
네이버 지식백과. 연쇄상구균. 출처: 생명과학대사전.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7536&cid=60261&categoryId=60261
네이버 지식백과. 간균. 출처: 두산백과.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55751&cid=40942&categoryId=32333
네이버 지식백과. 나선균. 출처: 모발학 사전.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3514&cid=42407&categoryId=42407
네이버 지식백과. 그람염색. 출처: 간호학대사전,.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87981&cid=60408&categoryId=55558
네이버 지식백과. 그람양성균. 출처: 두산백과.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859&cid=40942&categoryId=32333
네이버 지식백과. 그람음성균. 출처: 미생물학백과. Retrieved 2018,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4703&cid=61232&categoryId=61232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자료후기(1)

온도계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박테리아의 동정(Gram stain) (A+보장, 양질의 다양한 자료, 매 학기마다 예시자료로 쓰여짐)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