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 Layer Chromatography
- 최초 등록일
- 2019.01.10
- 최종 저작일
- 2018.10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 Discussion
본문내용
Abstract
이번 실험은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통해 대두유의 지방산 성분을 분석해보았다. 크로마토그래피는 고정상과 이동상의 상대적인 용해성에 의존하여 각 성분의 이동거리에 따라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실험방법은 먼저 대두유 5g을 플라스크에 취해 CHCl3 : methanol = 1 : 1(10㎖) 혼합액을 가하고 30분간 방치를 한다. 이후 깔때기와 paper filter를 설치해 Na2SO3를 넣고 sample을 거른다. 걸러진 용액은 evaporator로 용매를 제거한 후 5%의 용액이 되도록 CHCl3의 양을 계산해서 넣어준다. TLC판은 하단에서 3cm 위치에 spot할 부분을 연필로 선을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시료별 spot할 부분을 체크한다. mobile phase인 용매의 elution의 위치는 spot할 위치로 부터 15cm위에 연필로 선을 그려 표시해준다. 그 다음 체크한 부분에 Sample, OA, LA, TG, MO, TO을 spot하고 활성화시킨 TLC chamber에 넣어 전개를 시킨다. 전개 후 발색제로 10% 황산을 뿌린 뒤에 150~180℃의 oven에서 발색시켜 Rf값을 비교한다. 실험결과 우리조 sample의 Rf값은 각 각 Sample(0.987), OA(0.753), LA(0.740), TG(0.953), MO(0.073), TO(0.987)로 나타났다. 다른 조별 및 예비실험도 약간의 차이는 발생했지만 대부분 유사한 Rf값을 나타냈으며 실험결과를 통해 Sample로 사용한 대두유에는 Rf값이 가장 유사한 TG와 TO가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었다. 실제로 1)3)논문을 통해 살펴본 대두유의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53.2%, 올레산(oleic acid) 23.4%, 포화산 15%, 리놀렌산 7.8%이었으며 실험값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TLC판의 전개된 길이를 잴 때, 중간부분을 임의로 계산하는 등의 오차원인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참고 자료
이형주 외 8인. 식품화학. 수학사. 2014. pp124-130.
이근보 외 3인. 쉬운식품분석. 유한문화사. 2006. pp251-254.
김효진 외 2인. 시중 유통 자장면의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 조사. 농업과학연구 제37권 제2호. 2010. pp261-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