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번 실험은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통해 대두유의 지방산 성분을 분석해보았다. 크로마토그래피는 고정상과 이동상의 상대적인 용해성에 의존하여 각 성분의 이동거리에 따라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실험방법은 먼저 대두유 5g을 플라스크에 취해 CHCl3 : methanol = 1 : 1(10㎖) 혼합액을 가하고 30분간 방치를 한다. 이후 깔때기와 paper filter를 설치해 Na2SO3를 넣고 sample을 거른다. 걸러진 용액은 evaporator로 용매를 제거한 후 5%의 용액이 되도록 CHCl3의 양을 계산해서 넣어준다. TLC판은 하단에서 3cm 위치에 spot할 부분을 연필로 선을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시료별 spot할 부분을 체크한다. mobile phase인 용매의 elution의 위치는 spot할 위치로 부터 15cm위에 연필로 선을 그려 표시해준다. 그 다음 체크한 부분에 Sample, OA, LA, TG, MO, TO을 spot하고 활성화시킨 TLC chamber에 넣어 전개를 시킨다. 전개 후 발색제로 10% 황산을 뿌린 뒤에 150~180℃의 oven에서 발색시켜 Rf값을 비교한다. 실험결과 우리조 sample의 Rf값은 각 각 Sample(0.987), OA(0.753), LA(0.740), TG(0.953), MO(0.073), TO(0.987)로 나타났다. 다른 조별 및 예비실험도 약간의 차이는 발생했지만 대부분 유사한 Rf값을 나타냈으며 실험결과를 통해 Sample로 사용한 대두유에는 Rf값이 가장 유사한 TG와 TO가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었다. 실제로 1)3)논문을 통해 살펴본 대두유의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53.2%, 올레산(oleic acid) 23.4%, 포화산 15%, 리놀렌산 7.8%이었으며 실험값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TLC판의 전개된 길이를 잴 때, 중간부분을 임의로 계산하는 등의 오차원인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