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Kawasaki disease 간호과정 케이스입니다.
- 최초 등록일
- 2018.12.16
- 최종 저작일
- 2018.05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1. 질환에 대한 고찰
2. 간호사례 자료수집
3. 간호과정
본문내용
- Kawasaki disease-
: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서 호발하는 급성 열성 전신성 혈관염이다. 5세 미만 아동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아동 후천성 심장 질환의 주요 원인이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가. 원인과 병태생리
: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가와사키 병의 임상적 및 역학적 특성들로 미루어 어떤 감염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저 연령층에서 잘 발견되고, 계절적 및 지역적 호발 현상이 있으며 자연 치유적인 특성을 가진 임상증상들은 병원체의 감염을 원인으로 의심하게 하나, 특정한 병원체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또 환아의 형제에서 가와사키 병이 연속적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있어 유전적 요인이 있을거라 추측하기도 한다.
지금은 어떤 유전학적 요인을 가진 아동이 비교적 흔한 병원체에 감염된 이후 과민반응이나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을 일으켜 발생된다고 추청하고 있다.
: 중간 크기의 혈관을 주로 침범하는 전신성 혈관염이다. 특히 관상동맥에 영향을 미치지만, 혈관염은 또한 신체 내의 정맥, 모세혈관, 세동맥 또는 동맥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질병 초기에는 혈관 내피세포와 평활근 세포에 염증과 부종이 관찰되나, 혈관벽의 내탄력층은 침범되지 않는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급성 염증성 세포들은 섬유아세포와 단핵구로 대치되고, 섬유성 결체조직이 염증부위에 형성되어 결국 혈관벽이 두꺼워진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관이 협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나. 증상
· 39℃ 이상의 고열, 사지말단의 부종, 피부의 부정형 발진, 양측 안구결막의 충혈, 입술의 홍조, 딸기모양의 혀, 구강 점막의 발적
발열은 대게 항생제에 반응이 없으며 열은 치료하지 않으면 대개 1~2주 이상 지속되고 어떤 경우에는 3~4주 동안 열이 있기도 한다.
· 초기에는 심하게 보채며, 경우에 따라 설사, 복통, 두통, 기침 등을 보인다.
다. 임상검사
: 아직 특별한 진단적인 검사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임상기준에 의존한다.
참고 자료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pub/
박은영 외 공저(2014)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p220~224
정승은 외 공저(2014) 「아동간호학개론」, 수문사, p141~170
정승은 외 공저(2014) 「아동건강간호학」, 경기: 수문사, p365~379
성소병원 E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