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료 309 (살수여상 악취제거)
*오*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바이오-살수여상의 악취제거 기술2. 바이오-세정여상의 악취제거 기술
3. 미래지향적 바이오-막 악취제거 기술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론]미기상환경의 질과 대기환경의 질을 보전하는 악취제거 기술에는 화학적 기법(열적산 화, 촉매 산화, 오존화)과 물리학적 기법(응축, 흡수, 흡착) 및 생물학적 기법(바이오-필 터, 바이오-살수여상, 바이오-세정여상, 바이오-막)이 있지만, 아직 초기단계의 기술은 바 이오-막 악취제거 기술이다. 막 기술은 해수담수화 등에서 한국도 상당한 국제적 경쟁 력을 확보한 분리기술이므로, 흡수기-한외여과막-미생물증식층-지지체로 구성되는 악취 제거 모듈 시스템(modular system)과 장치를 개발하면, 악취제거 기술부문에서 지구적 선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악취제거, 탈취기술, 바이오살수여상, 바이오세정, 바이오스크러버, 바이오필름, 바이오막탈취]
1. 바이오-살수여상의 악취제거 기술
황화수소나 일부의 유기화합물과 같은 악취물질은 바이오-필터로서는 신뢰성 있고 경제적으로 제거하기는 어려운 편이다. 그리하여 좀 더 복잡하고 복합적인 여과기법의 바 이오-살수여상(bio-trickling filter) 혹은 살수형 바이오-필터(trickling bio-filter)로 설계하고 디자인하여 악취물질을 처리하고 있다. 바이오-살수여상의 특징은 수용상의 액체를 여재 위에서 살수(trickling)시켜 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링 여재로서는 불활성의 합성 재료나 불활성의 천연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바이오-살수여상은 액체상 혹은 수용액상의 특성으로 인해, 프로세스의 조건은 제어하 기가 쉬우므로, 바이오-살수여상은 바이오-필터보다는 살수기능이 추가되는 것만큼 더욱 복합적인 구조의 악취물질을 처리하도록 디자인하고 있다. 바이오-살수여상의 장점 이라면, 간단한 형상과 저비용의 디자인이고, 투자비나 운용비도 중간 정도이고, 산-생 성 악취물질로서의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쉽고, 여상의 압력강하도 낮다. 그러나 바이오 -살수여상의 단점은 고농도의 악취물질 처리 시에 고농도의 영양염류를 주입해야 하므로, 바이오매스의 생장에 따라 여상의 눈막힘이 심하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향기 냄새과학」, 김림・김오우 지음, 홍문관, 2010.11, 337pages, p-ISBN 978-89-7618-231-9「냄새처리공학」, 김림・김오식 지음, 한중일영한자센터, 2013.3, 112pages, e-ISBN 979-11-86727-35-5
「냄새과학」, 김수려・김오식 지음, 한중일영한자센터, 2013.3, 130pages, e-ISBN 979-11-86727-36-2
「환경과 건강」, 정규혁・김오식 지음,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2, 350pages, p-ISBN 978-89-7986-830-2
「환경기술직무사전」, 전문화 아카데미아 편저, 홍문관, 2005.3, 599pages, p-ISBN 978-89-7618-165-4
Krzysztof Barbusinski, Katarzyna Kalemba, Damian Kasperczyk, Krzysztof Urbaniec, Violetta Kozik, “Biological methods for odor treatment - A review”,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152, No.20, May 2017, pp.223~241
M. Toledo, M. C. Gutiérrez, J. A. Siles, and M. A. Martín, “Odor mapping of an urban waste management plant: Chemometric approach and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respirometric and olfactometric variable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https://doi.org/10.1016/j.jclepro.2018.11.109
Federico Autelitano, and Felice Giuliani, “Analytical assessment of asphalt odor patterns in hot mix asphalt production”,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ume 172, 20 January 2018, pp.1212~1223
Miriam Strangel, Martin Schlummer, Andreas Maeurer, and Andrea Buettner, “Comparison of the odorant composition of post-consumer high-density polyethylene waste with corresponding recycled and virgin pellets by combined instrumental and sensory analysi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ume 181, 20 April 2018, pp. 599~607
Emmanuel Alepu Odey, Zifu Li, Xiaoqin Zhou, Yichang Yan, “Locally produced lactic acid bacteria for pathogen inactivation and odor control in fecal sludg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ume 184, 20 May 2018, pp.798-805
Bill W. Bogan, et al.,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ammonia, hydrogen sulfide, carbon dioxide, and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from two manure-belt layer hen houses”, ATMOSPHERIC ENVIRONMENT, Vol. 156, 2017, pp.113~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