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원인
- Acetylcholine 수용체 감소 (※Ach는 문제X)
- 자가면역장애 : 수의근의 신경근 접합부의 신경 흥분전달장애 초래
- 사춘기 이후의 흉선 활동 활발
- 갑상선 기증항진증
- 유전
- D-penicillamine, interferon-ɑ 등 약물 사용
3) 빈도
- 유병률 : 인구 10만 명당 14.5명 정도로 추정
-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 20~40대 호발
- 여자 3배>남자
4) 증상
- 잠재적, 서서히 진행
- 근육활동 후 근육 쇠약
- 휴식 시 회복 (가역적)
- 초기증상 : 안검하수(위쪽을 바라볼 때 더 심해짐), 복시, 안구진탕
- 안면근 쇠약 : 입벌림, 저작근, 연하작용(설인신경), 언어기능과 관련된 근육 침범
- 침범부위의 통증
- 위기증상 : 호흡부전, 사지무력감, 빈맥
5) 악화요인
- 약물 : 강한 설사제, 항부정맥 약물, 항생제, 항류마티즘 약물, 항경련제, 마약, 항우울제
- 류마티스 관절염 - 호르몬 변화
- 알코올 - 감염, 열
- 스트레스 - 부종
6) 진단검사
- Tensilon 검사 양성(+)
: tensilon(신경과 근육자극물질) 주입 → 주입 후 근육 회복(ex. 눈이 확 떠짐)
- 근전도 : 침범부위 근력 파악. 확진X
- 혈액검사 : 혈청 내 AchR 항체 확인(환자의 80% 존재). 확진검사
7) 치료 및 간호중재
⑴ 약물요법
- 콜린분해효소 억제제(mestinon) : 아세틸콜린 분해 방해로 신경근육 전달 증진
※ 콜린성 위기 위험으로 천천히 흡수해야 함. 곡류 및 크래커와 함께 섭취
참고자료
· 전시자 외(2012).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 전시자 외(2012).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 조경숙 외(2016).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 박정숙 외 역(2013). 제7판 성인간호학Ⅰ. 서울 : 엘스비어코리아
· 박정숙 외 역(2013). 제7판 성인간호학Ⅱ. 서울 : 엘스비어코리아
· 송경애 외(2016).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 3판. 현문사
· 킴스온라인(http://www.kimsonline.co.kr) : 약물 검색
· 구글(http://www.google.com) : 사진자료 검색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