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받은 나라별 의료보건정책 지역사회 과제
- 최초 등록일
- 2018.12.06
- 최종 저작일
- 2018.0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의 감염병 관리체계
2. 일본의 감염병 관리체계
3. 미국의 감염병 관리체계
4. 프랑스의 감염병 관리체계
5. 독일의 감염병 관리체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들어 국내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전염병들이 유행하고 있다. 2013년 에볼라바이러스, 2015년 메르스, 최근 지카바이러스까지 신종감염병으로 인한 불안과 공포가 있었다. 세계 여러 나라들은 자국을 감염병으로부터 예방하기 위해 대책본부를 결성하고 감염병 관리정책을 통해 대대적인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여러 가지 감염병으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어 국가적인 감염병 관리를 통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감염병 관리에 대한 부족한 점으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2015년 메르스 사태를 통해 감염병의 관리기구의 역할의 문제, 전문성과 인력의 문제, 감염병 관련 위기대응체계의 문제등 많은 문제점들이 들어나 이를 계기로 관리체계를 개선의 필요성을 느꼈다.
앞으로도 여러 가지의 감염병이 발견될 것이라고 많은 학자들이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더욱이 감염병 관리정책을 보완하여 대비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의 감염병 관리체계와 정책들을 조사하고 비교해보며, 현재 우리나라의 감염병 관리정책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해볼 것이다.
Ⅱ. 본론
1. 한국의 감염병 관리체계
1) 한국의 주요 감염병 관리체계 기관
: 감염병 발생 시 질병관리본부에서 대책반 구성·운영
※ 이외에도 국립보건 연구원에서 확인진단 검사나, 검역소에서 입국자 검역조치를 시행한다.
2) 한국의 건강위기 수준에 따른 관리 체계
1) 감염병 위기관리 수준별 조치 사항
관심 단계
☞ 질병관리본부에서 ‘감염병 대책반’ 구성
- 24시간 긴급 상황실 운영, 상황점검
- 해외 질병발생 상황, 관련정보 수집·분석
- 국내 유입 차단 위한 검역활동
- 국내 환자 조기발견 위한 감시체계 가동
- 조기진단을 위한 실험실 진단체계 설립
- 국가 방역 준비태세·점검 (격리병원, 개인보호구…)
- 대국민 홍보 (감염예방주의 안내, 보도자료 배포…)
참고 자료
김남순 외 10명, 2015.02, 감염병 관리체계의 문제와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질병관리본부, 2017.03, 메르스 대응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