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선행 연구
II. 본론
2.1 분석 대상
2.2 분석 기준
2.3 교재 분석
2.3.1 학습 활동의 구성 방식
2.3.2 학습 활동의 유형
2.3.3 학습 활동의 기능 : 언어 지식
2.3.4 학습 활동의 기능 : 언어 활동
2.3.4 학습 활동의 기능 : 문화 학습 활동
2.4 분석 결과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특수 목적 중 외국인 노동자(이주 노동자)를 고려한 교재 분석 기준에 대한 연구를 앞으로 더 활성화시키고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취업을 목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의 비중이 크지만 학문 목적 학습자, 유학생, 재외동포, 결혼 이주 여성 등을 위한 교재에 비해 체계적이지 못한 교재와 교육 과정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다. 체류 외국인들의 자격별 구성현황을 <표 1, 2>에서 살펴보면 취업 목적의 외국인들의 비중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 략>
II. 본론
2.1 분석 대상
본 연구에서는 4개의 기관에서 발행한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교재 총 6권을 분석하고자 한다.
(1) 교재 A : 한국산업인력공단(2012),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한국어 표준교재』
이 교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외국인 노동자의 직무를 분석한 직무 구조도에 따라 총 7개 주제, 50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과는 ‘어휘 및 표현 – 대화 – 연습 – 문화(정보) - EPS-TOPIK 연 습’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2) 교재 B : 국립국어원(2012), 『이주 노동자를 위한 아자 아자 한국어 1, 2』
1권에서는 총 5단원 15과로, 2권에서는 총 6단원 18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에 개정된 동 책은 2010년 인쇄된 초판 1권의 연습 부분에서 ‘자연스러운 대화’, ‘한국의 문화와 정보’, ‘혼자서 해 봅시 다(성취도 시험)’를 추가로 제공하였다.
(3) 교재 C : 다락원(2012), 『Korean Language for a Good Job 1, 2』
1, 2권 모두 총 15과로 이루어져 있고, ‘대화 – 발음 – 어휘 – 문법 및 표현 – 연습 – 과제 활동(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 퀴즈(성취도 시험) - 한국 문화’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 자료
서종학, 이미향(2007), 한국어 교재론, 태학사
배두본(1999), 영어 교재론 개관, 한국문화사
Brown, 이영식 외 공역(2006), 외국어 평가 원리 및 교실에서의 적용, (주)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방성원(2011),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47호, 이중언어학회.
오유진(2012),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어휘 분석 연구,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현숙(2006),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의 현황과 변천 과정 연구, <한국어 교육> 17권 3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영(2001),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한국어 교육>, 12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영(2001), 한국어 교재의 언어 활동 영역 분석, <한국어 교육> 12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기준성(2006),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 연구 – 최근 주요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재를 대상으로 -, 한국언어문화학, 3권 2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구민숙(2001),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교재구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혜진(2009), 외국인 근로자 고용제도와 한국어 교육의 과제, <한말연구> 제25호, 한말연구학회
박성수(2006), 외국인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내용 선정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승선(2006), 이주노동자 대상 취업 전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선경(2007), 특수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 : 이주노동자, 이주여성 및 그 자녀에 대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허유경(2009),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교수요목 구성방안 : 송출국에서의 단기교육과정을 위한 교수요목을 중심으로, 『간문화적 언어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09년 제7차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