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무어(Mary E. Moore)의 기독교교육 사상 - 해석학적 접근에 근거한 기독교 교육
- 최초 등록일
- 2018.11.29
- 최종 저작일
- 2018.1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메리 무어(Mary E. Moore)의 기독교교육 사상 - 해석학적 접근에 근거한 기독교 교육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메리 무어(Mary E. Moore)의 기독교교육 사상 - 해석학적 접근에 근거한 기독교 교육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메리 무어(Mary E. Moore)의 기독교교육 사상 - 해석학적 접근에 근거한 기독교 교육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메리 무어(Mary E. Moore)의 기독교교육 사상 - 해석학적 접근에 근거한 기독교 교육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Ⅰ. 서론
Ⅱ. 해석학 이론
ⅰ. 근대 이전의 해석학
ⅰ) 고대 교회의 해석학
ⅱ) 어거스틴의 해석학
ⅲ) 중세 교회의 해석학
ⅱ. 현대 해석학
Ⅲ. 무어(Mary E. Moore)의 기독교 교육
ⅰ. 전승화 모형의 기초
ⅰ) 전승
ⅱ) 경험
ⅱ. 전승화 교육의 과제
ⅰ) 해석
ⅱ) 변형
ⅲ. 전승화 교육의 실제
ⅰ) 교육 목적
ⅱ) 교육 내용
ⅲ) 교육 방법
Ⅳ. 결론
ⅰ. 무어의 해석학적 접근의 특징과 시사점들
본문내용
Ⅰ. 서론
기독교 교육에서 해석학적 접근이론이 소개되기는 1970년대 후반부터이다. 이 보다 앞서 역사적 전승과 현재 경험 사이의 연결을 위한 시도로서 신앙 공동체 중심의 교육론이 1970년대 초에 웨스트호프(J.Westerhoff)와 넬슨(C. E. Nelson)에 의해 소개되었다. 넬슨은 역사적 전승과 현재 경험 사이의 통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해석학적 접근을 시도한 그룸(T. Groome)과 보이스(M. C. Boys)는 대화 이론에 근거하여 전승과 경험 사이의 분리를 극복하려고 하였다. 그룸은 과거와 현재 사이의 대화 그리고 현재와 미래 사이의 대화를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보이스는 구속사적 해석 원리에 근거하여 전승과 변형 양자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윙크(W. Wink)는 이 문제를 분리된 인식 작용의 통합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무어(M. E. Moore)는 성경의 정경화 과정에 기초한 전승화 모형을 통해 전승과 경험의 통합을 시도하고 있다.
Ⅱ. 해석학 이론
우리는 일상생활 가운데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언어와 상징을 통해 의도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의미를 전달하려 한다. 또한 우리는 상대방이 전달하려는 의미를 이해함으로 의미를 발견하고 그 의미를 좇아가는 삶을 살고자 한다. 인간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어떻게 경험하고 이해하는가? 어떻게 그 의미를 파악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부여받는가? 의미는 어디에 있는가? 어떻게 의미체계가 형성되는가? 의미를 인식하는 자리는 어디인가?
해석학은 이러한 물음에 대해 대답하려는 시도이다. 해석학은 이러한 해석에 관한 이론이나 철학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조셉 블라이허는 인간의 표현(expression)은 의미 있는 요소를 담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인식하는 것과 전달하는 것이 해석학의 과제로 제기되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해석학은 경험, 의미의 표현, 전달, 이해, 의미의 발견, 의미 추구 등에 대한 탐구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해석학은 그 역사적 전개 과정에서 크게 근대 이전과 현대의 해석학으로 나눠지고, 현대 해석학은 다시금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진다.
참고 자료
권순홍 역, 『현대 해석학-방법, 철학, 비판으로서의 해석학』.서울: 한마당, 1990.
무어, 『기독교 교육의 새로운 모형』1991.
윤철호, 『기독교 인식론과 해석학』.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이원일, 『해석학과 기독교 교육현장』.(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8), p.71-72.
임희완, 『역사학의 이해』.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2001.
박혜성. "Mary E. Moore의 기독교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전승화 모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 대학원, 1989.
이태희. "무어(M. Moore)와 그룸(T. Groome)의 해석학적 접근에 근거한 기독교 교육 비교연구" 석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