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문헌고찰
1. 질병명
2. 정의
3.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8. 간호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중재 및 평가
Ⅳ. 결론
1. 대상자 상태
본문내용
1. 질병명
Cecal Cancer (맹장암)
2. 정의
맹장은 대장의 시작 부분으로 오른쪽 하복부의 회장 개구부 아래에 있는 짧은 소화관 즉, 소장의 말단부에서 대장으로 이행하는 부위에 있다. 길이 5~6cm이며, 맹장의 뒤쪽 내부 벽에는 충수가 돌출해 있다. 맹장은 대변에서 물이 흡수되는 결장의 시작 부분으로 액체가 많고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대변을 포함한다. 기능으로는 창자에서 남아있는 영양분을 흡수하고, 물의 재흡수를 시작한다. 우리나라의 식생활 습관이 점차 서구화됨에 따라 암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맹장암은 대장암(colorectal cancer)의 한 부분으로 우측결장(맹장, 충수, 상행결장, 횡행결장)에 해당되며 맹장암의 발병률은 15%이다.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고 남녀 발생률은 비슷하지만 김남규 · 허혁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와 오재환 · 원영주 국립암센터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좌측결장암이 빠르게 증가하는 반면 여성은 우측결장암이 급격히 늘고 있다. 다른 부위보다 찾기가 더 어려우며 양성종양이 종종 나타나고 때로는 악성 종양이 된다.
3. 원인
확실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보통 맹장암은 충수돌기 부분에 급성을 생긴 염증이 암으로 발전해서 발생한다.
▶ 위험인자
- 50세 이상
- 가족력 : 직계 가족 내에 대장암, 가족성 선종성 용종 증후군
- 궤양성 대장염의 과거력 : 진단 8~12년 후 위험이 증가됨
- 대장 용종 또는 선암
- 흡연- 저섬유소 식이, 고지방 식이
- 비만
▶ 직접적인 원인
- 장내에 있는 세균들이 점막에 염증발생
- 인두염, 폐렴 등을 앓을 때 세균이 혈액 속으로 들어가 발생
- 충수염
▶ 흔한 원인
- 서구화된 식생활 습관
- 폭음, 폭식, 감기, 위장염, 변비, 과로 등으로 인한 체력의 소모
- 충수가 정상보다 길어 내용물이 정체
- 충수돌기 내강 폐색
참고자료
·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7, p251~286, p455~462
·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최혜숙, 「성인간호학실습2 지침서」, 2018, p153~174
· ACIKGUMLUK HEALTH(해외의학사이트), cecal cancer, https://acikgunluk.net/
· Julie Wilkinson, “What You Should Know About Cecum Cancer(Cecum Cancer에 대해 알아야 할 사항)”,「verywell health 」, 2018년 9월 18일
·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결장암, https://www.cancer.go.kr/
· 두산백과, 맹장, http://www.doopedia.co.kr
· 질병관리본부_ 손씻기, http://www.cdc.go.kr/CDC/main.jsp
· 박정환, “대장암·결장암·직장암? 헷갈리는 대장질환 바로알기”, 「브릿지경제」, 2018년10월18일, 13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