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장 개혁주의 국가관
Ⅰ.국가의 본질
Ⅱ.국가의 정치 형태
Ⅲ.국가와 교회
Ⅳ.통치자에 대한 신자의 태도
제 4 장 개혁주의 교회관
Ⅰ.교회의 본질
Ⅱ.교회의 특색
Ⅲ교회의 속성
제 5 장 개혁주의 신앙관 - 요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관
Ⅰ.이신득의
Ⅱ.신앙의 본질
제 6 장 개혁주의 성령론
Ⅰ.오순절의 단회성
Ⅱ.오순절 사건의 의미
제 7 장 개혁주의 교회(장로교회)의 기원
Ⅰ.개혁교회(장로교회)의 정의
Ⅱ.장로교회 제도의 성경적 기원
제 8 장 개혁주의와 자본주의
제 9 장 정통주의와 개혁주의
본문내용
일찍이 워필드 박사는 「칼빈과 성경」이라는 글에서 칼빈의 위대성은 그가 성경의 권위를 바로 깨달은 데 있다고 했다. 성경의 권위야말로 칼빈 사상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그의 개혁운동에 있어서 칼빈과 대항하여 양극을 이룬 로마교회나 재침례교회 역시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다 함께 성경의 권위를 인정했으나 그 권위의 근거를 어디에 두느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 서로 달랐다.
첫째로 로마교회도 성경의 영감을 믿으며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나 성경의 권위보다 교회의 권위를 더 앞세웠다. 하지만 교회는 이 주어진 말씀이 순결하게 보존되고 전파되도록 하는데 그 존재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교회에 권위가 있다면 하난미의 말씀을 가르칠 때만이 있을 수 있다. 로마교회는 교회가 성령의 지도를 받기 때문에 오인에 빠질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잘못이다.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을 통하여 성령의 가르침에 따를 때만이 오류를 범하지 않는다.
둘째로 칼빈은 재침례교파에서 주장한 그릇된 성경관에 대하여 「기독교 강요」 1권 9장에서 반박하고 있다. 성경을 떠나서 하나님을 찾아갈 수 있는 길이 있다고 상상하는 사람들은 참으로 잘못된 것을 알아야 한다. 이들은 성령을 내세워 말씀을 죽은 글에 그치는 것으로 믿어 성경 읽는 것을 거절한다. 그러나 칼빈은 교회의 권위를 내세워 기록된 성경의 권위를 무시하는 로마교회의 입장에 못지 않게 성령의 권위를 내세워 성경의 권위를 손상시키는 자연주의적인 입장도 반대하였다.
성령은 성경을 거스리는 것이 아니라 서로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경을 떠나서 성령을 높일 수 없는 것이다. 바울은 삼층천에 올라간 신비한 체험을 가졌으나 “성경을 읽는 것에 착념하라”고 권한다. 성령의 하시는 일은 어떤 새로운 교리를 제정하시려고 하심이 아니요. 주어진 복음의 진리를 떠나지 않고 우리 마음 속에 인쳐 주시기 위함일 뿐이다.
이처럼 칼빈은 로마교회의 사제주의에서 오는 교회 권위의 우위성과 재침례교파의 신비적 개인주의를 기록된 말씀의 권위 위에서 배척하엿다.
그러면 칼빈에게 있어서 성경 권위의 근본적인 근거는 무엇이었던가? 오늘날 칼빈 해석가들 가운데 이 문제에 관하여 두 가지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첫째는, 칼빈이 성경의 권위의 근거를 예수 그리스도 자신에 두고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의 권위를 부인하였다는 입장이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모든 것이 영감된 것이며 무오한 것을 믿을진대 그것을 기록으로 남긴 성경도 영감된 것이며 무오한 것을 믿는다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