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고전시가교육론] 한림별곡 소고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고전시가교육론] 한림별곡 소고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고전시가교육론] 한림별곡 소고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고전시가교육론] 한림별곡 소고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1. 내용 요약
2. 주제
3. 갈래 및 작품에 관한 기존의 논의
4. 감상평
본문내용
현전하는 경기체가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고려 고종 3년(1216)경에 한림의 선비들이 공동으로 지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성장하고 있는 신흥 사대부들이 추구하는 흥겨운 생활상을 열거한 전 8장의 작품이다.
제1장에서는 당대의 문장가들이 그들의 특기와 함께 노래되었고, 제2장에서는 이름 높은 저술물들이, 제3장에서는 다양한 글씨체들이, 제4장에서는 이름 있는 술들이, 제5장에서는 꽃(기생)들이, 제 6장에서는 악기들이, 제7장에서는 명산들이, 제8장에서는 이러한 생활상을 꿈꾸는 신흥사채부들이 그네를 타고 힘 있게 하늘로 도약하는 모습이 노래되고 있다. 각 장의 마지막에 엽(葉)이 붙어 있어 앞서 나열한 항목에서 높은 이름을 얻은 이가 특기를 발휘하는 광경을 그리고 있다.
주제
학문과 정치의 개혁에 대한 한림제유(翰林諸儒)들의 자신감과 기상을 표현한 노래
갈래 및 작품에 관한 기존의 논의
가. 경기체가와 속가의 성격과 계통에 관한 논의 요약
김준영은 경기체가의 초기 작품인 「한림별곡」은 중국 사악(詞樂)의 영향에서 발생했다는 것과, 관중악(官中樂)으로 쓰인 고려속가의 형식은 고려 이전부터 있어 온 일반 대중의 민요형으로, 그 기본형은 거의 매절 4구 구성인데, 그것을 궁중에서 외래악곡에 맞추어 부르기 위하여 반복구와 여음을 붙이거나 어떤 한 절은 새로 작사하여 가사가 재조정되었다는 것, 따라서 경기체가와 속가는 전연 그 성격과 형식, 계통이 다른 별개의 장르의 시가 김준영, 「경기체가와 속가의 성격과 계통에 관한 소고」, 국어국문학 연구총서『고려가요 연구』(정음사, 1979), 276쪽.
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경기체가가 속가와는 다른 점을 들어볼 수 있다. 이명구는 「한림별곡」이 내용상으로나 음악상으로 이색적인 것이기에 당시 사람들의 흥미를 끌었고, 그것이 관중악으로까지 쓰이게 되자, 지식층의 몸에 익어 마침내 한 시가형으로 고정되었으리라고 추측된다고 한림별곡의 형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나. ‘별곡’이라는 이름에 관한 논의 요약
김택규는 우리나라 가요의 분화과정을 살피면서 ‘도솔가’같은 2/4 박자 대구 등 장4구체의 우리 민요의 기반적 가락
참고 자료
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연구총서『고려가요 연구』, 정음사, 197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4.
김풍기, 『한국고전시가교육의 역사적 지평』, 월인, 2002.
신영명, 『사대부시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1996.
박용운, 『고려시대사』(하), 일지사, 1987.
이남복, 『고려후기 신흥사족의 연구』,경인문화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