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문 및 현대 해석
2. 주제 및 의의
3. 작품 분석 및 기존 연구
4. 나의 감상 및 정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 주제 및 의의
주제: 귀족들의 사치스런 생활상과 향락적이고 활기나 진취적인 기상이 없는 퇴영적인 기 풍. 권좌를 꿈꾸던 당시 신흥 사대부 신진 사류(新進士類)들의 향락적이고 득의에 찬 과시 적 기개 찬양(讚揚), 신진사류들인 귀족들의 학문적 자부심
의의: 향가와 시조나 가사를 이어 주는 과도기적 형태로 최초의 경기체가이자 귀족의 생활 감정을 표현하고, 가사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 작품 분석 및 기존 연구
성현의 ≪용재총화≫에는 허참례 및 면신례와 관련하여 <한림별곡>의 향유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담겨있는데, 잔치에 참석한 여러 사람의 공동 체험과 그 내면을 표출하는데 긴요하게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이행의 ≪쾌심정서≫에는 중종 15년에 전주에서 한림연을 베풀고 <한림별곡>을 제창했다고 하며, 명종 3년에 경상감사로 부임하는 정만종을 보내면서 주세붕이 쓴 ≪봉공정공인보출안영남≫의 105~108구에서는 지난날 예림과 시원에서의 일을 떠올리면서 <한림별곡>의 향유를 말하고 있다. 특히 107구의 ‘원순문’은 <한림별곡> 1장의 첫 구절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어, 지난날 한림연에서의 감흥을 반추하고 있다. 김만중의≪청임영기창한림별곡유회이사군≫에도 17세기 후반까지 <한림별곡>이 향유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한림별곡>은 좌주문생연에서 가창하기 위해 만들어진 노래로, 당시 유행하는 팔경시의 서경적 속성을 살려 고급한 생활상을 담았는데, 태평성대를 구가하는 왕권의 위대함을 찬양한 노래라고 볼 수 있다. 임금의 덕택에 호화롭게 살고 있는 생활의 즐거움을 노래한 것은 또 다른 측면에서의 임금의 은혜와 덕의 대한 칭송으로, 비록 <한림별곡>이 한림 제유의 뜻에 부응한 노래라고 할 수는 있지만 한림제유가 자신들의 재능을 과시하고 자신들의 호화로운 생활을 노래한 것이라고 추측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