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배경론] 김태자전과 구운몽에 나타난 유교,불교,도교
- 최초 등록일
- 2018.11.11
- 최종 저작일
- 2018.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한국문학배경론] 김태자전과 구운몽에 나타난 유교,불교,도교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한국문학배경론] 김태자전과 구운몽에 나타난 유교,불교,도교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한국문학배경론] 김태자전과 구운몽에 나타난 유교,불교,도교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한국문학배경론] 김태자전과 구운몽에 나타난 유교,불교,도교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불교 속의 문학, 문학 속의 불교
2. 기이한 세계가 전개되는 문학 속의 도교
3.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의 전통 종교 중 가장 뿌리 깊게 내려오는 것은 유교, 도교, 불교의 세 종교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불교는 그 역사가 가장 오래 된 것으로, 고전 문학 뿐만 아니라, 그 당대의 사회, 경제, 정치 등에도 큰 영향을 끼쳤음은 당연한 것이다. 불교가 면면히 이어져 오는, 사람들의 기본적인 정서 기층이라면, 이조시대 때부터 번성한 유교는 지금까지도 우리 사회에 뿌리 박혀 있는 명백한 정서 구조이다. 현실을 중시하는 유교와, 현실을 초월한 내세-윤회-를 중시하는 불교는 우리 문학에 그 자취를 남겨왔으며, 신선적 이미지를 제공해온 도교는 유교와 불교 문학과 접목하여 여러 문학의 기본 사상이 되어 왔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유/불/도교의 세 종교의 이미지를 함유하고 있는 ‘김태자전’과 ‘구운몽’에 대해 비교ㆍ대조해 가면서, 과거 민중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 볼 것이다. ‘김태자전’은 본생담의 ‘선우태자전’ㆍ‘안락국전’을 바탕으로 쓰여진 소설로써, 석가 역시 속세의 삶에서는 苦 의 인생을 살았음을 말해주어, 주인공이 힘든 고난을 겪은 후, 권선징악으로 종결을 맺는 구조이다. 한편, 구운몽은 성진의 꿈을 중심으로 쓰여진 소설로써, 꿈꾸기 전의 현실과 후의 현실 기표가 다른 것이 특징이다. 두 소설 다 교훈적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 소설이며, 본문에서는 우선 양 소설을 비교ㆍ대조하여 불교문학에 대해 논의해 볼 것이다. 차후로 도교 문학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김태자전’과 ‘구운몽’에 나타난 유교적 의식에 대해 풀이해 보겠다.
참고 자료
이형기ㆍ이종찬ㆍ김태준ㆍ홍기삼. 불교문학이란 무엇인가. 동화출판공사. 1991
見利文周. 現代佛敎文學入門. 法藏館. 1983
根源說話硏究. 印權煙. 人文論集 제8집. 高麗大學校文科大學. 1967
鄭漢模金容稯. 文學槪說. 博英社. 1999
朴晟義. 韓國文學背景硏究(上). 三友社. 1975
김기동ㆍ전규태. 한국고전문학 100 김태자전. 서문당. 1984
김만중. steady books 21구운몽. 청목. 2001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