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룹증후군, Croup Syndrome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18.11.09
- 최종 저작일
- 2017.10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A. 문헌고찰
B. 기초자료
C. <간호 진단과 간호 문제 목록>
D. <case>
E. 참고문헌
본문내용
크룹은 후두의 부종 혹은 폐쇄로 인해 쉰 목소리, ‘개 짖는 듯한’혹은 ‘쇠소리’, 흡기시의 천명음, 호흡곤란으로 묘사되는 공명성 기침이 특징인 증상군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크룹증후군은 후두, 기관 및 기관지에 영향을 주는데, 후두의 급성감염은 영아와 어린 아동에서 발생률이 높고, 기도직경이 좁아서 염증에 의한 폐쇄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이 연령군에서 중요한 질환이다.
크룹증후군은 감염된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후두개염, 후두염, 후두기관기관지염, 기관염 등으로 기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두기관기관지염은 대단히 어린아동에서 발생하며, 후두개염은 나이든 아동에게 좀 더 일반적이다.
1.급성 후두개염
급성 후두개염은 중증 폐쇄성 염증과정으로 2~5세 아동에게 두드러지게 발생하며 영아기에서 성년기 까지 모든 연령에 발생할 수 있다. 질환을 초래하는 원인균은 용혈성 인플루엔자이다. 후두개염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중증호흡곤란으로 급속도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증상으로는 연하곤란, 앙와위에서 악화되는 협착음, tripod position(똑바로 앉아 턱을 내밀어 앞으로 기울이고, 입을 벌려 혀를 내밀고 있으려 하는 자세), 과도한 침 분비가 있다. 또한 후두개염에 걸린 아동은 불안정하여 극도로 안절부절못하고, 매우 겁먹어 있는 표정을 보인다.
후두개염이 의심되는 아동을 검진하려면 설압자를 사용한 인후검사 시 더 폐쇄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가가 시행하거나, 기관내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을 시술할 수 있다. 산소투여는 어린 아동이나 나이든 아동은 마스크를 통해 수행되어야 하며 중증도나 심한 아동에게는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에피네프린을 분무하거나 헬륨이나 산소를 섞어 투여하고, 스테로이드제를 초기에 사용하는 것도 좋다.
후두개염 환아의 간호로는 불안이 증가되지 않도록 신속하고 조용하게 행동하고 지지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 자료
Donna L.Wong,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10
우현지 외, 핵심임상간호 매뉴얼, 우리의학서적, 2013
유혜정, 필통 간호학 핵심 요약집 아동간호학, 에듀팩토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