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교육과정책의 이해 2018년 1학기 기말고사 / 족보
2018년도 1학기에 수강해서 직접 정리하고 해설 찾아서 달아놓은 파일입니다.
친구가 2018년 2학기꺼 들어서 같이 풀어줘보니 문제가 중복되서 나오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공부하는대 도움될겁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친구가 2018년 2학기꺼 들어서 같이 풀어줘보니 문제가 중복되서 나오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공부하는대 도움될겁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미국에서 기존의 동화주의적인 이민 정책과 소수자 집단에 대한 정책에 강력한 비판이 제기 된 것은 1960년대 부터의 일이다.
(1) X
(2) O
➜ 미국의 동화주의 다문화 정책에 대한 비판
- 미국 다문화 정책의 근간
- 미국에서의 다문화 정책의 근간은 19세기부터 1960년대까지 지속되어온 멜팅 팟정책, 즉 미국화 정책이라 할 수 있음
- 멜팅 팟 정책은 유럽계 백인중심의 문화가 곧 미국의 주류 문화가 되고 그 속에 소수의 문화가 녹아 들어가는, 동화주의적 통합 이데올로기라 할 수 있음
2. 다음은 일본의 민족구성과 다문화 현황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사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본 남부 류큐 제도에는 ‘류큐인’ 또는 ‘오키나와인’ 이라 불리는 소수민족이 거주한다.
(2)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3) 일본은 일본인이 전체 인구의 98%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민족적 동질성이 높은 나라이다.
(4) 일본 북부 훗카이도에는 ‘부락민’ 이라고 불리는 원주민이 거주한다.
➜ 일본의 소수민족
→부락민: 일종의 천민집단으로 일본에서 가장 큰 규모의 소수민족집단이지만 인종적, 문화적으로 주류 일본인과 별 차이가 없어 굳이 따로 구분하지 않음
→아이누인: 일본 북부 훗카이도에 거주하는 원주민
→오키나와인: 오키나와에 거주하는 원주민
3. 다음은 일본의 이민의 역사와 관련된 설명이다. 이중 ‘ 구이민자’ 즉 올드커머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1970년대까지는 이들 구이민자 집단이 재일 외국인의 주류를 이루어 왔다.
(2) 1940년대에 징병 또는 징용으로 일본에 끌려간 한국인들도 구이민자에 속한다.
(3) 구이민자 집단의 대표적인 예는 제 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의 식민지로부터 이주해온 식민지 주민이다.
(4)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이 군사적으로 점령을 했던 동남아시아에서도 많은 이민자들이 일본에 유입되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