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인지장애
1. 일반적 개념
2. 인지장애 아동의 간호
3. 다운증후군
4. 여린 X증후군
Ⅰ. 인지장애
1. 청력장애
2. 시력장애
3. 시청각장애
Ⅲ. 의사소통 장애
1. 일반적 개념
2. 자폐 스펙트럼 장애(자폐증)
3. 의사소통 장애 아동의 간호
본문내용
인지장애 : 전 인구 3%에서 영향을 받으며, 모든 유형의 지적장애 포괄하는 일반적 용어
- AAIDD(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미국 지적발달장애 협회)의 인지장애 정의는 적응 행동과 지적기능 모두가 매우 제한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간주
진단
- 인지장애는 일반적으로 가족이나 전문가가 아동의 발달이 느리다고 의심한 후에 진단
- 다운증후군 같은 특징적 증상을 보이는 경우 출생 시 진단
- 심하면 아동이 학교에 입학 후 진단이 내려지기도 함
원인
- 감염과 중독
- 외상 또는 생리적 요인
- 대사 장애 또는 영양이상
- 후천성 뇌질환
- 원인불명의 출생 전 요인 : 소두증, 수두증 등
- 염색체 이상
- 임신성 질환
- 아동 발달 기간 동안에 시작된 정신질환 : 자폐증
<중 략>
시력장애 방지 대책에 협조
① 풍진이나 매독감염, 시력상실과 관련된 유전질환 가족력이 있는 고위험임부에 대한 산전 진찰을 한다.
② 산전, 산후관리 동안 미숙아와 과도한 산소관리로 인한 위험을 예방한다.
③ 출생 시부터 학령전기까지 선천적 시력상실, 굴절장애로 인한 시력장애, 사시, 그밖에 다른 질환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를 시행한다.
④ 모든 아동에게 풍진 예방접종을 한다.
⑤ 안구외상의 일반적 원인에 대한 상담을 할 때 안전에 대한 방법도 포함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