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를 통한 문학과 대중의 만남
- 최초 등록일
- 2018.10.28
- 최종 저작일
- 2016.09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카프의 대중화론을 바탕으로 현대시대의 매체를 활용한 문학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
목차
없음
본문내용
매체에 관심을 가졌던 김기진의 대중화론이 가졌던 문제의식은 현재에도 큰 의미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근대적 문학 개념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의 개화기를 거치면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개념으로, 여러가지 형태적 실험을 거쳐 시, 소설, 희곡, 비평과 같은 근대적 문학 범주들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인쇄매체를 바탕으로 하여 발전해왔던 문학은 급속한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인해 형태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스마트 폰의 등장과 함께 종이 신문이 사라져가는 것처럼, 문학의 주된 보급 수단이었던 인쇄매체는 입지가 빠르게 좁아져가고 있다.
디지털 환경이 특히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매체와 문학의 변화도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문학의 갈래에서 특히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장르는 바로 ‘시’이다. 시는 다른 장르에 비해서 글자 수가 적고 짧다는 특성을 바탕으로, 디지털 매체의 다양한 방면과 결합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멀티포엠’과 ‘디카시’가 있다.
참고 자료
민족문학연구소(2015), 「새 민족 문학사 강좌」 창비
김영주(2015), 「트위터 시의 현상과 가능성」, 『어문학』, 127, 289-315. 187-203.
박상천(2003), 「예술의 변화와 문화콘텐츠의 의의」. 『인문콘텐츠』, (2), 177-197.
서덕민(2014), 「‘멀티포엠’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법 연구」,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15(1),
이원동(2015), 「예술 대중화 논쟁과 매체 전략의 의미」, 『어문학』, 127, 363-390.
이재훈(2013), 「디지털 양식과 현대시의 변모 양상 연구」, 『돈암어문학』, 26, 189-214.
전봉관(2000), 「디지털 시대의 문학과 그 정체성 문제」, 『한국현대문학연구』, 8, 81-102.